MBK의 수상한 커넥트웨이브 공개매수… 낮은 매수가 빌드업 ‘흔적’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5.07 15:51

-커넥트웨이브 매출 매년 경신… 주가는 인수 이후 3분의 1 토막

-AI기술 고도화 속 실적 상승세… 기술·실적 두마리 토끼 ‘잡아’

-배당·리포트·IR 찾기 어려워… 일부선 “주가 부양 의지 실종”

ci

▲ci

'아시아 1위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의 커넥트웨이브 공개 매수가격이 낮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법적 산식의 문제가 아니다. 주가가 크게 빠졌음에도 19년간 이어오던 배당은 없애고 주가 부양에 대한 IR, 증권사 리포트 발간 등의 노력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 3일 MBK파트너스는 다나와 등을 운영하는 커넥트웨이브를 상장폐지를 위해 공개매수하기로 발표했다. 대상 주식은 2187만4333주로 최대주주 및 자기주식을 제외한 잔여주식 전량이다.


매수가격은 1만8000원으로 MBK파트너스가 지난 2021년 11월 26일 다나와(현 커넥트웨이브)를 인수한 가액인 1주 당 5만9331원의 30% 수준이다.



MBK가 인수한 이후 커넥트웨이브의 실적은 순항 중이다. 사실상 인수 첫 해인 2022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323억원으로 전년 대비 85.6%했고, 지난해 역시 2022년과 비교할 때 12.7% 상승했다.


매출은 매년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 중이다. 2022년 코리아센터와의 합병 등 동종업계 기업 및 전후방 관련 기업을 인수, 시장지배력을 확장하는 볼트온(Bolt-On) 전략을 구사하며 사세 확장에 성공했다.




올해 실적 전망도 밝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는 알리, 테무 등 중국 직구 플랫폼 관련 수혜도 예상된다. 임희석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중국 직구 플랫폼 고속 성장으로 이커머스 경쟁이 심화되면서 가격 비교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라며 “네이버에 이은 국내 2위 가격 비교 서비스 사업자인 커넥트웨이브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그렇다고 기술 개발을 게을리하지도 않는다. 지난해 11월 다나와는 최대 50가지 제품을 자동 비교할 수 있는 Vs검색을 도입했고, 올 2분기 프라이빗 언어모델 플레이(PLAi)를 도입할 계획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4월부터는 경량화된 프라이빗 언어모델 '플레이'를 다나와, 에누리 플랫폼 안에 적용해 더욱 강력한 가격 비교 서비스를 제공할 전망"이라면서 “다나와, 에누리뿐만 아니라 메이크샵, 플레이오토, 링크프라이스, 몰테일 등에도 플레이를 도입해 플랫폼 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기업가치는 상승, 시가총액은 하락

커넥트웨이브의 기업가치는 상승했지만, 주가는 오히려 하락했다. 인수 발표 당시(2021년 11월 26일) 2만8400원을 기록했던 주가는 지난해 9720원까지 빠지기도 했다. 3분의 1토막 난 것이다. 공개매수 모멘텀이 작용하기 전인 지난달 25일 종가인 1만3100원 역시 절반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주가가 억눌린 배경으로 공개매수를 위한 준비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MBK는 인수 이후 19년간 이어오던 커넥트웨이브의 배당 기조를 없앴다. 사모펀드는 펀드 출자자들의 배당 지급을 위해 포트폴리오 기업들의 배당을 재원으로 사용하는 점을 고려할 때 색다른 전략이었다. 하지만 이는 주가 하락의 요인이 되었다.


또한 증권사들의 커넥트웨이브 관련 리포트 발간 수 역시 급감했다. MBK가 경영권을 확보한 22년 3월 이후 26개월 간 나온 보고서는 7개(와이즈리포트 기준)에 불과했다. 21년 26개와 비교할 때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23년 이후 발간된 보고서는 3개에 불과했다.


'질'적 측면에서도 달라졌다. 우선 23년 이후부터는 목표주가도 사라졌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유안타증권 권명준 연구원의 보고서의 경우, 장래 실적에 대한 전망이 담겨 있지 않았다. 증권사 보고서는 기업의 미래 성장세를 수치화시키는데 과거 수치만 담겨있어 분석을 제대로 했는지도 의심스러운 보고서다. 기업설명회(IR) 역시 1차례에 불과했다.


공개매수는 상당한 현금 유출이 수반되는 작업이다. MBK가 잔여 지분을 인수하는데 들어갈 자금은 3960억원으로 4000억원에 육박한다. 자체 자금으로 충당하지 못해 NH투자증권에 607억원을 최소고정금리 6.5% 조건으로 차입하기도 했다.


아울러 2022년에도 합병을 진행했기에 반대주주에게 주식매수청구권을 부여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기도 했다. 즉, 인수 이후 2년 반 사이 MBK는 기업 구조 조정을 위해 두 차례나 대규모 현금 유출이 필요한 의사결정을 내렸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사모펀드가 공개매수를 통한 상장폐지를 할 때 자주 활용하는 방법"이라면서 “MBK는 의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나 소액주주는 갑작스러운 기업가치의 이전으로 피해를 보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는 공개매수를 제한하는 특별한 장치가 없기에 제도 개선을 통해 소액주주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박기범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