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투자자(사진=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여파로 미 채권시장에서 대규모 매도세가 출현된 가운데 중국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의 비중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도이치뱅크의 릴리안 타오 중국 거시경제 및 글로벌 신흥국 시장 총괄은 인터뷰에서 “중국 투자자들이 미국 달러 비중을 줄이면서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나선 것을 목격했다"며 “투자자들은 유럽 채권, 일본 국채와 금을 미 국채의 대안으로 삼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등으로 미국의 오랜 위상을 의심한 투자자들이 미 국채를 팔기 시작하자 채권 금리가 장기채 중심으로 수십 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보였다.
이를 두고 국채 투매 현상의 배후에 중국이 있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됐었다. 중국은 일본에 이은 세계 2위 미 국채 보유국이다.
다만 중국 투자자들의 미 국채 매도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타오는 “일부 중국 고객들은 현재 국채금리가 (국채 매수에) 진입하기 매력적인 수준으로 보고 있다"면서도 “이들은 좋은 진입 단계인지 떨어지는 칼날인지를 두고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 속에서 그동안 주목 받지 못했던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등 채권에 눈길을 돌리는 중국 고객들이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오는 “거시적 요인을 고려할 때, 중국 투자자들은 투자 가능성이 더 높은 국가로 자산을 재분배하는 것을 재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 당국은 관영 매체를 통해 미중 무역전쟁 확전의 피해는 결국 미국이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미국 정부가 국제시장에서 저금리로 빚을 낼 수 있었던 것은 미국 정부에 대한 신뢰도에 기반한 달러의 안전자산 지위 덕분이었다"면서 “미국이 무역전쟁을 무리하게 확대하면 달러 위기가 초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인민일보는 또 “(미국은) 최근 무분별한 관세 부과로 미국 주식시장, 채권시장, 외환시장에 패닉을 불러왔다"면서 “이렇게 신뢰도를 다 끌어다 쓰는 행위로 글로벌 투자자들의 달러 자산에 대한 신뢰를 갉아먹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현재 36조달러(약 5경1109조원)에 달하는 미국 국가 부채 중 올해 만기 도래 예정인 금액은 9.2조달러(약 1경3061조원)"라고 언급하면서 “미국이 고집스럽게 무역전쟁을 확대해 (국가 신뢰도가 하락하면) 기존 부채를 갚기 위해 새로운 빚을 내는 비용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인민일보는 세계적 경제학자인 토머스 프리드먼이 “나는 방금 미래를 봤다, 그것은 미국에 있지 않다"라고 쓴 뉴욕타임스 칼럼 제목을 인용하면서 “주변국을 희생시키는 경제적 괴롭힘은 결국 스스로를 해치는 정치·경제적 위기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또 “관세전쟁 충격은 미국 소비자들이 영수증을 통해 피부로 느끼게 될 것이며, 미국 내 인플레이션은 불가피한 결과"라며 “역사는 미국이 휘두르는 관세 몽둥이가 결국 자신에게 돌아오는 부메랑이었음을 증명할 것"이라고 재차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