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적 지연 물량 이월 등으로 급증
30만5909대 87억6000만달러 규모
![]() |
▲기아 오토랜드 화성 EV6 생산 라인. |
29일 업계와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완성차 5개사의 올해 1∼7월 친환경차 수출량은 총 30만5909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21만6771대)보다 41.1% 늘었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수소전기차 등을 합산한 수치다.
특히 지난달 친환경차 수출량은 5만4164대로 지난해 동월(3만3874대) 대비 59.9% 뛰었다. 친환경차 월수출량이 5만대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달 민주노총 화물연대의 운송 거부로 선적 지연된 물량이 이월되고 생산량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1∼7월 친환경차 수출량을 업체별로 보면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13만9912대, 13만1837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동월 대비 21.7%, 49.3% 늘었다. 르노코리아자동차는 3만6153대로 165.8% 증가한 실적을 올렸다. 쌍용차는 129대를 수출했다. 쌍용차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 친환경차 수출이 한 대도 없었다. 한국지엠도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친환경차를 수출하지 않았다.
연료별로는 전기차가 11만6600대 수출돼 지난해 같은 기간(7만4518대)보다 56.5%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하이브리드는 16만421대로 33.8%, 플러그인하이브리드는 2만8714대로 33.3% 각각 늘었다. 수소전기차 수출량은 174대로 78.7% 줄었다.
모델별로 보면 전기차는 기아 EV6 3만5344대, 현대 아이오닉5 3만5045대, 기아 니로EV 1만3973대 순으로 수출량이 많았다. 하이브리드는 르노 XM3 3만5910대, 현대 코나 1만9645대, 기아 니로 1만6176대 순이었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는 기아 니로가 6204대, 쏘렌토가 6192대였다.
수출 물량 증가에 힘입어 수출액도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해 1∼7월 친환경차 수출액은 87억6000만달러로 역대 같은 기간 최대 규모로 집계됐다.
지난달만 놓고 보면 친환경차 수출액은 14억8000만달러로 지난해 9월 처음으로 월 10억달러를 돌파한 이후 11개월 연속 10억달러를 웃돌았다. 이는 전체 자동차 수출액의 28.6%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