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차 전기본] '전력 보릿고개' 사라지나…총소비량·최대수요량 전망치 높였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08.30 14:40

2030년 전력소비량과 최대전력 전망치 9차때보다 각각 4.2%와 8.5% 상향



데이터센터 증가와 산업·수송·건물 분야 전기화, 비계량 태양광의 영향

clip20220830114012

▲발전량이 전력시장에서 파악되지 않는 ‘비계량 태양광’의 모습.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한여름 또는 겨울철만 되면 전력 공급 부족으로 전기소비자의 마음을 졸이게 하는 일이 이젠 사라질까?

전력공급이 달려 수급이 간당간당하는 이른바 ‘전력 보릿고개’를 없애기 위한 정부의 처방전이 나왔다.

정부는 30일 공개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서 2030년 전력소비량과 최대전력 전망치를 9차 전기본때 보다 각각 4.2%와 8.5% 높였다.

데이터센터 증가와 산업·수송·건물 분야 전기화 등을 반영한 것이다.

문재인 정부 때 ‘탈원전·탈석탄’ 정책으로 전력소비량과 최대전력 전망치를 낮게 잡는 등 제대로 추계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윤석열 정부가 이런 지적을 받아들여 이번에 현실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발전량이 전력시장에서 파악되지 않는 ‘비계량 태양광’도 10차 전기본의 최대전력 전망치에 반영됐다.

이는 여름 또는 겨울철 최대 전력수요 상황 때 전력 당국의 효율적인 전력수급 관리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간 가정용 등 일부 태양광 전력이 전력시장에서 잡히지 않아 전력당국의 전반적인 전력수급 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문제 제기가 잇따랐다.

10차 전기본에 따르면 2030년 예상 전력소비량은 565.6TWh로 지난 2020년에 확정된 9차 전기본의 542.3TWh보다 4.2%(23.3TWh) 늘었다. 10차 전기본의 2030년 예상 최대전력은 109.0GW로 9차 전기본의 100.4GW보다 8.5%(8.6GW) 늘었다.

전력소비량은 한 해 동안 총 소비되는 전력량을 말한다. 최대전력은 순간 전력수요량이 가장 많을 때 전력사용 규모를 의미한다.

전기본 자문기구인 총괄분과위원회에 따르면 10차 전기본의 예상 전력소비량과 최대전력이 9차 때보다 증가하게 된 원인은 데이터센터 증가와 산업·수송·건물 등 분야에서 전기화의 영향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지난 9차 전기본을 수립할 때는 4차 산업혁명이 전력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지 않았다. 이번 10차 전기본을 수립하는 과정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 전력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데이터센터가 늘어나 전력을 많이 소비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산업·수송·건물 등 각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전기화에 따라 전력소비량이 늘 것으로 판단됐다.

10차 전기본에서 예상한 2030년 최대전력이 9차 때 예상한 최대전력보다 더 늘어난 이유는 비계량 태양광의 영향도 있다.

9차 전기본에서는 전력시장에서만 파악되는 전력수요량을 가지고 최대전력을 전망했다. 그 결과 전력시장에서 파악되지 않는 한국전력 전력구매계약(PPA)과 자가용 태양광 등 비계량 태양광에서 생산한 전력량은 9차 전기본 최대전력 전망치에 포함되지 않았다.

하지만 10차 전기본에서는 비계량 태양광 발전량도 포함해서 전력수요량을 계산해 최대전력을 전망했다.

비계량 태양광의 발전량도 포함되면서 10차 전기본의 최대전력 전망치가 9차 때보다 8.5% 늘게 됐다.


wonhee4544@ekn.kr



이원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