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형욱 SK E&S 사장 "연료전지는 수소산업의 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09.01 15:04

‘H2 MEET 2022’ 특별 토크쇼서 수소 활용기술 확보·수요처 확대 중요성 등 역설

111.

▲추형욱 SK E&S 대표이사 사장이 1일 일산 킨텍스 H2 MEET 2022 행사장에서 열린 ‘수소경제와 미래를 열어갈 연료전지’ 토크쇼에서 수소 연료전지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추형욱 SK E&S 대표이사 사장이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수소산업의 쌀’인 연료전지 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역설해 주목된다.

추 사장은 1일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산업 국제 전시회인 ‘H2 MEET 2022’ 특별 토크쇼에서 "청정수소 중심의 수소경제가 조기 안착하기 위해서는 수소 활용기술의 확보와 수요처의 확대가 중요하다"고 밝히고 "정부가 제시한 2030년 수소 사용량 390만 톤 달성을 위해서는 2025년 150만 톤 규모의 수소시장이 필요하다"며 화두를 던졌다.

수소시장 확대와 미래 성장산업 육성을 위한 해답으로 추 사장은 ‘수소 연료전지’를 지목했다. 발전소, 자동차를 포함한 모빌리티 분야를 망라해 ‘수소산업의 쌀’과 같은 핵심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이유에서다.

추 사장은 "연료전지는 수소만으로 발전을 할 수 있는 무탄소 발전원으로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발전시장의 에너지전환에 현실적인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모빌리티 분야에서 수소의 잠재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추 사장은 "연료전지는 친환경 버스, 트럭, 드론, 선박, 항공 등 미래 모빌리티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성장잠재력이 높기 때문에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경우 국내 산업 경쟁력 확대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수소산업을 국가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는 정부의 담대한 지원 정책이 필수적"이라며 정부의 혁신적인 지원 정책도 요구했다.

그러면서 △수소발전시장 확대를 통한 규모의 경제 달성 지원 △대규모 연료전지 기반의 미래 신산업 육성 기반 마련 △청정수소 조기 확산을 위한 인증제도연내 도입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SK E&S는 사업 파트너들과 함께 수소 분야에 18조5000억 원을 투자해 탄소중립을 위한 ‘수소 시대의 꿈’을 현실로 만들어 가고 있다.

인천에 건설 중인 연간 3만 톤 규모의 액화수소플랜트는 2023년 말 생산을 개시하고, 친환경 수소버스 보급 가속화에 나서 수송 분야의 탄소감축에 기여할 계획이다.

2025년을 목표로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기술을 활용한 세계 최대 규모의 블루수소 생산기지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설비를 충남 보령 지역에 구축, 청정수소 시대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youns@ekn.kr

김연숙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