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도별 녹색제품 구매금액 |
6일 환경부에 따르면 작년 의무구매 대상 기관은 933개로 올해 집계된 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실적은 전년대비 453억원 증가한 3조8533억원이다.
코로나19로 위축되었던 공사 수요가 일부 회복되면서 건설·건축자재 관련 품목의 구매가 증가한 것이라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기관유형별로 보면 지방자치단체가 1조5222억원으로 가장 많이 구매했고 교육자치단체가 1조1248억원, 국가기관이 4239억원 순이었다.
국가기관은 605억원으로 16.6% 증가했고 기타공공기관은 139억원으로 30.1% 급증했다.
상위 구매 품목은 개인용 컴퓨터, 창호, 철근·형강이며 해당 3개 품목이 전체 녹색제품 구매금액의 50% 정도 차지했다.
공공기관 녹색제품 의무구매제도는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공공기관에서 물품 구매 시 녹색제품을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하는 제도다.
환경부는 국가보훈처, 그랜드코리아레저, 우체국금융개발원, 대전도시공사, 전남도, 경남 거창군, 전북 부안교육지원청, 신용보증재단중앙회 등 8곳을 2021년 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이행 우수기관으로 시상한다. 이 기관들은 녹색제품 구매액이 연속해서 늘었거나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은 곳들이다.
이창규 환경부 환경교육팀장은 "녹색구매이행을 위해 노력하는 공공기관에 대한 혜택(인센티브)을 강화해 공공녹색구매 모범사례를 확산하고 그 공로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