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시장 친환경규제 코앞…업계 "정부 정책적 지원 시급"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09.12 10:17

국제해사기구 환경규제 내년부터 시행…탄소배출량 감축 발등의 불
차세대연료 선박 투자 어려움…유럽·일본은 세금 깎아줘 투자 지원

해운업

▲해운업. 사진=픽사베이(Pixabay)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해운업계가 코 앞으로 닥쳐온 ‘친환경 규제’ 대응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현재 LNG와 수소, 메탄올, 암모니아 등 다양한 차세대 친환경 연료가 있지만 어떤 연료가 가장 경제적으로 효율적인지, 지금 투자해도 문제가 없는지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어서다.

12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당장 내년부터 바다 위 모든 선박들은 의무적으로 탄소배출량을 감축해야 한다. 국제해사기구는(IMO) 내년부터 선박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하는 환경규제인 탄소집약도 등급제(CII)를 실시한다. 선박들은 탄소배출량을 기준으로 A(높은등급)부터 E까지 등급을 부여받는다. 3년 연속 D등급을 받거나 E등급을 한번이라도 받으면 선주는 탄소배출량 개선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에 업계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영국, 프랑스 일본 등 주요 해운국에서는 이미 세금 절감분을 투자자에게 환원함으로써 선박 도입비용을 조기에 상환하는 ‘조세리스 제도’ 등 정책적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업계는 다가오는 환경규제에도 선주들은 최소한의 선박 부품 교체 투자만을 실행하는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 선주들은 친환경 대안연료 상용화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다고 판단, 조금 더 지켜보자는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 해운업계 관계자는 "CII 대응을 위해 선박에 연료 효율을 높이는 에너지 절감 장치를 많이 다는 추세"라면서도 "에너지 절감 장치로 개선되는 효율은 1∼2%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기적으로는 좋은 평가를 받는 친환경 연료로 교체가 필연적"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은 환경규제 대응을 위해 신조선 투자가 시급한 상황이다.

한국수출입은행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보유 선박 기준 세계 10대 해운강국이지만 다른 경쟁국 대비 자산가치가 낮고 선령(선박이 진수한 날부터 경과한 기간)이 높아 환경규제 대응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월 기준 세계 10대 해운국 중 한국의 보유 선대는 1641척, 8609만DWT로 세계 선복량의 4.07%로 세계 7위다. 하지만 자산가치는 총 303억달러로 3.08%로 세계 10위, 평균선령도 14.1년으로 9위를 기록했다.

수출입은행은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선 노후선 교체투자에 대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해운업계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친환경 연료 인프라 구축, 친환경 선박 항비 감면, 인센티브 확대 등 지원 방안을 엄청나게 확대해도 미래가 불확실하다"며 "환경규제는 곧 시행되는데 어떻게 하라는 건지, 돈이 얼마나 들어가는지도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 산업계의 합의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글로벌 해외 선사 중 머스크(Maersk)는 메탄올 공장을 자회사로 들여 연료의 자급이 가능하도록 했다"며 "우리나라는 해운사, 조선사, 정유사가 모두 있는데 서로 협의를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lsj@ekn.kr

이승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