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 부동산중개업소 부동산 매물 전단 모습.연합뉴스 |
금리 인상 등 여파로 전월세 시장에 물건도 많아지고 가격도 떨어지면서 갱신권을 쓰지 않은 협의 재계약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연합뉴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 전월세 거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날 기준 7월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 신고건은 총 1만 7727건이었다.
이중 신규·갱신 여부가 확인된 경우는 총 9908건으로 갱신 계약 비중이 52.1%(5166건)였다.
올해 1월에는 서울 아파트 전월세 갱신·신규 여부가 확인된 1만 5818건 중 42.6%(6733건)가 갱신 계약이었다.
6개월 새 갱신 비중이 10%p 가까이 높아진 것이다. 또 7월 들어 갱신 계약이 신규 계약(4742건, 47.9%)을 추월한 것이도 하다.
지난 6월에도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갱신·신규 확인된 1만 2613건 기준) 가운데 갱신 비중(46.2%)은 1월보다 늘었다. 그러나 신규 계약(53.8%)보다는 적었었다.
이렇게 갱신 계약 비중은 커졌지만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비중은 되레 줄었다.
6월과 7월 서울 아파트 전월세 갱신 계약중 갱신권을 사용한 경우는 각각 63.5%(3697건), 63.4%(3277건)로 집계됐다. 올해 1월 갱신권 사용 비중이 69%에 달했던 것과 비하면 눈에 띄게 축소된 것이다.
이 가운데 순수 전세 갱신 계약중 갱신권 사용 비중은 올해 1월 74.1%에 달했다. 그러나 6월에는 72.0%, 7월에는 70.9%로 줄었다.
월세 갱신 계약중 갱신권 사용 비중은 올해 1월 54.6%에서 6월 43.3%로 크게 줄었다. 7월에도 44.3%로 6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갱신 계약은 늘었는데 갱신권 사용 비중이 떨어진 건 최근 전세시장 침체로 세입자 찾기가 어려워 진 것으로 풀이된다.
신규 임차인을 구하는 것이 어려워지면서 새 임차인을 찾기보다는 집주인과 기존 세입자 간 협의 계약이 증가하는 것이다.
최근 전월세 시장에는 물건 수는 늘어나는데 신규로 전셋집을 찾는 수요가 줄면서 전월세 물건이 쌓이고 있다. 금리 인상 여파로 대출 금리가 전월세전환율보다 높아지자 대출로 주거지 상향하려는 이동 수요가 급감한 영향이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올해 2월부터 약세를 보이기 시작해 7월까지 누적으로 0.46% 하락했다.
부동산빅데이터업체 아실 집계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전월세 물건 수는 한 달 전 5만 2876건에서 현재 5만 7429건으로 8.6% 증가했다.
시장에는 당초 올해 8월부터 계약갱신청구권 소진 물건이 시장에 나오면서 4년치 전셋값을 한꺼번에 올리려는 집주인으로 인해 전세시장이 다시 불안해질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다.
그러나 이 예측이 완전히 빗나간 것이다.
오히려 전세 만기가 끝나가는 데 새 임차인을 구하지 못해 보증금을 집주인이 내줘야 하는 ‘역전세난’도 본격화할 조짐이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