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민간주도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투자 지원에 63억5천만원 투입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09.16 11:58
clip20220916115704

▲온실가스 관련사진.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정부가 내년부터 기업들의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투자를 지원하기 위해 63억5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문동민 무역투자실장 주재로 ‘산업·에너지 부문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협의체’ 2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민간 주도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내년부터 민간 기업들의 산업·에너지 부문 온실가스 국제감축 지원을 위한 시범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정부는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에 해당하는 해외 사업에 투입되는 투자비 일부를 지원한다. 이에 상응하는 온실가스 감축실적(ITMO)을 회수해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의 국외 감축 목표 달성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는 기업들의 내년도 해외 온실가스 국제감축 투자사업을 시범 지원하기 위해 정부 기후대응기금 예산안에 63억5000만원을 반영했다.

또 올해 초부터 연구용역과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실무협의체 검토를 거쳐 온실가스 국제감축 투자 지원 시범사업뿐 아니라 앞으로 추가될 정부의 국제감축 실적 구매 시범사업에 적용할 운용 요령도 마련하고 있다.

정부는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이 2030 NDC에서 11.5%(3350만t)를 차지하는 만큼 온실가스 국제감축 투자와 실적 구매 시범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우리 기업들이 보다 간소화된 절차를 거쳐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외교부와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를 통해 양자협정 체결을 적극 지원한다.

산업부는 파리협정 6조의 국제 탄소시장 지침에 양자협정에 기반한 온실가스 감축방식이 추가된 만큼 이번 시범사업은 양자협정 기반 온실가스 국제감축 투자를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국제감축사업 우선협력 대상 국가 18개국을 선정하고 이들 국가와의 양자협력을 통한 사업 추진 체계와 절차 등을 포함한 표준 협정 문안을 협의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산업·에너지 부문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전담 기관인 한국에너지공단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도 기업들의 국제감축 투자 지원에 힘을 보탠다.

한국에너지공단은 국제감축 사업 전(全)주기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기술을 지원하는 한편 산업부로부터 위탁받아 수행 중인 신재생 해외진출 지원사업과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국제감축 사업과 연계할 계획이다.

코트라는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기회 확대도 뒷받침한다.

이날 행사에서 코트라는 GGGI와 ‘지속가능 성장과 파리협정 지원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국제감축 프로젝트 정보 교환과 글로벌 녹색성장 주간 등 공동 행사 개최, 관심 국가 투자 촉진을 위한 지식·경험 공유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코트라는 CTCN(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과도 공동 협력 사업을 논의 중이며 세계은행(WB), 녹색기후기금(GCF), 녹색기술센터(GTC) 등 온실가스 국제감축 사업 관련 국제기구와의 협력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내년부터 해외 무역관에 탄소중립 지원센터를 신설해 현지 수요를 발굴하고 우리 기업의 인허가 절차를 지원할 예정이다.

문동민 무역투자실장은 "국제감축사업의 실질적 주체인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프로젝트를 추진해줄 것을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업계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민간주도형 사업추진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laudia@ekn.kr

오세영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