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의석 에경연 부원장, '에너지미래포럼' 월례 포럼서 주제발표
![]() |
▲사단법인 ‘에너지미래포럼’이 지난 16일 서울 서초동 JW메리어트호텔에서 ‘세계 경제 복합위기 상황과 주요국의 에너지 부문 정책 대응’을 주제로 9월 월례 조찬포럼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이원희 기자 |
양의석 에너지경제연구원 부원장은 사단법인 ‘에너지미래포럼’(대표 김정관)이 지난 16일 서울 서초동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연 ‘9월 에너지미래포럼’에 참석, ‘세계 경제 복합위기 상황과 주요국의 에너지 부문 정책 대응’ 주제발표를 통해 글로벌 에너지 위기 대응 관련 이같이 제안했다.
유럽연합(EU)과 미국,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이 원전을 탄소중립의 대안으로 활용하려는 지금 상황을 국내 원전 업계의 새로운 기회로 봤다. 이에 고준위 방사선 폐기물 처리 시설을 확보하는 등 원전 업계가 원전 관련 기술 개발과 성장 기반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 부원장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선진국들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규제 강화에 나서면서 에너지 공급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봤다.
양 부원장은 글로벌 에너지 위기 대응 전략으로 △차세대 원전 연구개발(R&D) 확대 △원전의 기술적 요건 조기 확보 △원전 선진국(미국)과 시장 진출 공조 △재생에너지 개발·보급 활동 촉진 등을 꼽았다.
그는 "EU에서도 원전이 탄소중립화의 좋은 대안으로 이야기 되고 있다"며 "앞으로는 소형원자로(SMR) 같은 새로운 원전이 시장을 장악할 것으로 보여 차세대 원전 시장에서 국제기준을 선점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양 부원장은 국내 조선산업에도 기회가 올 것이라고 봤다.
그는 세계 천연가스 공급망 구조 변화에 따라 앞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수주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양 부원장은 현재 세계 경제 상황이 복합적인 위기에 처했다고 말했다. 그는 위기 요소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상황 지속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경제권의 블록화 심화 △기후변화 환경규제 심화 등을 꼽았다
양 부원장은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시행 중인 주요 국가들의 에너지정책 방향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독일은 풍력발전 촉진 제도를 마련해 전체 국토의 2% 이상을 육상 풍력을 보급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현재는 독일 전체 영토의 0.8%만이 육상풍력을 설치할 수 있다. 지난해 말 폐쇄 예정이었던 원전 3기의 수명을 연장을 검토 중이다.
영국은 석탄화력발전소를 한시 연장 가동하고 원전 설비를 2050년까지 3배 이상 확대를 추진한다. 현재 영국의 총 원전 설비 규모는 약 7GW로 2050년까지 24GW로 늘릴 계획이다.
프랑스도 원자력 부흥 정책으로 최대 14기의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2035년까지 12기 원자로를 영구 정지키로 한 당초 계획을 철회하고 원전 수명 연장을 추진 중이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