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 보급 실적, 2021년도 52만호로 2020년도 172만호 대비 30% 수준 축소
- 고장 건수는 1.6배 증가해 전국 21만 5천여건 수준
- 정일영 의원, "AMI 보급 2017년 일본 수준에 불과... 한전, IoT 강국 걸맞는 품질관리 책임져야"
![]() |
▲정일영 의원 |
19일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인천 연수을)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AMI 보급 및 고장현황’에 따르면, 한전은 21년에 AMI를 52만호를 보급했지만 재작년인 20년 대비(172만호) 30% 수준에 불과했으며, 오히려 동 기간(20~21년) 고장건수는 135,011건에서 215,533건으로 1.6배이상 급증하였다.
전국 AMI 보급률은 48%로 아직 절반에 미치지 못했는데, 보급률이 낮은 지역은 경북 39%, 전북·대전충남·광주전남·대구 42% 등 순으로 나타났다. 2017년 이탈리아가 100%, 미국 52% 일본 48%인 것을 고려하면 매우 낮은 수치다.
전체 고장 건수는 1.6배 증가했지만, 2배이상 고장이 증가한 취약지역 또한 5곳인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의 경우 3배 이상 증가했으며(6,734→19,971건), 경남은 2.5배(11,584건→29,475건), 인천은 2.3배(4,955→11,177건), 경북은 2.2배(4,682건→10,433건), 대전충남은 2배(8,000건→16,390건) 증가했다.
AMI 보급은 에너지 효율 향상에 따른 비용 절감, 신재생 확대 등의 세계적인 추세와 함께 2010년 1월 정부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 수립에 따라 한전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업이다.
당시 한전에서는 2010년 250만호 사업 첫 삽을 떴지만, 이듬해인 2011년과 2012년에 통신 시험장비와 KS표준 인증시험절차 오류 등의 이슈로 사업이 중단된 바 있다. 2013년에는 200만호 AMI 사업이 재개됐지만, 통신(PLC) 특허소송에 휘말려 이를 해결하기까지 장시간이 소요되기도 했다.
정일영 의원은 "사업 초기 추진 당시 한전에서는 2020년까지 2,250만호에 AMI보급을 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작년 보급률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라면서, "보급률이 5년전 일본 수준에 불과한 만큼, 국내 보급률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 의원은 "영국과 독일의 경우 대량 리콜 사태, 기술적 결함, 데이터 보안에 따른 규제 등으로 AMI 보급이 지연된 사례가 있다"면서 "안정적인 보급을 위해서는 한전이 고장을 줄일 수 있는 기술품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