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태양광 패널.로이터/연합뉴스 |
2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전력거래소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은 9월 기준 2만 7103메가와트(MW)였다. 이는 전체(13만 4719MW) 대비 20.1%다.
이 비중은 지난 7월 19.8%에서 8월 20.1%로 처음 20% 선을 돌파했다.
신재생 중 태양광 발전설비 용량은 2만 305MW였다. 이는 전체 15.1%를 차지한 용량으로, 신재생에너지 안에서는 대부분을 차지한다.
수력(1812MW), 바이오(1800MW), 풍력(1754MW)은 1.3% 수준이었다.
특히 신재생 비중은 원자력보다 2.9%p 높다.
에너지비중은 액화천연가스(LNG)가 30.8%로 가장 높고 유연탄(석탄) 27.2%, 원자력 17.3%였다.
지난해 9월 신재생 비중이 17.8%로 원자력(17.6%)을 처음 앞선 뒤 역전 현상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신재생 비중은 약 10년 전인 2012년 12월(5.0%)과 비해 4배 수준이다. 태양광 비중은 이 기간 0.8%에서 15.1%로 무려 18배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원자력 비중은 25.3%에서 17.3%로 줄었다. 발전설비 용량 자체는 커졌지만, 신재생 비중 증가에 원자력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었다.
신재생 발전설비 비중은 최근 수년간 온실가스 감축과 탈원전 정책에 따라 대폭 커졌다. 그러나 발전량은 그에 비례해 커지진 않았다.
한국전력이 지난 8일 발표한 ‘7월 전력통계월보’를 보면 7월 신재생의 발전전력량은 4581GWh(기가와트시)로 전체(5만 5018GWh) 8.3%에 그쳤다. 7월에 발전설비 용량 비중이 19.8%였던 것을 고려하면 발전량 비중은 절반이 되지 않았다.
원자력은 1만 5355GWh로 27.9%였고 석탄은 35.8%, 가스가 26.9%였다.
현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면서 앞으로 원자력 비중이 증가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신재생은 축소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달 발표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오는 2030년에 원전 발전량을 전체 32.8% 수준으로 확대하고 신재생은 21.5%로 유지하는 방안이 담겼다.
문재인 정부 당시인 지난해 10월 확정된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안’에 비해 원전은 8.9%p 높고 신재생은 8.7%p 낮다.
또 국무조정실은 최근 문재인 정부가 태양광 발전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전력산업기반기금사업에서 2616억원이 부당하게 대출·지급됐다는 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산업부도 전수 조사에 나서기로 해 태양광 사업 위축 전망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최근 삼성전자도 동참한 ‘RE100’ 이행에 우려도 내고 있다. RE100은 2050년까지 사용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캠페인인데, 이를 위한 국내 재생에너지가 부족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산업부 측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 21.5%까지 확대하는 경우 추가 RE100 가입 기업을 고려해도 공급 측면에서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