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요 은행 전경. |
21일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017년부터 지난 7월까지 시중은행의 횡령 및 유용·사기·배임·도난 및 피탈 등 금융사고 건수는 총 210건, 금액은 1982억원에 달했다.
사고 유형은 횡령·유용이 114건(1009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사기 67건(869억원), 배임 20건(99억원), 도난·피탈 9건(3억8000만원) 순이었다.
은행별로 보면 신한은행에서 가장 많은 29건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각각 28건, 국민은행 27건, 농협은행 23건 등이었다.
은행별 금융사고 금액을 보면 우리은행이 1131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우리은행은 올해 직원의 700억원대 횡령 사건을 발견하기도 했다. 이어 하나은행 159억원, 신한은행 141억원, 농협은행 139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강병원 의원은 "반복되는 은행권의 금융사고는 은행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떨어뜨리는 주범"이라며 "금융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은행은 내부통제를 강화하겠다고 얘기하지만 그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필요하다면 금융위원회나 금감원 등 금융당국이 직접 개입해 유사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