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연료전지 발전 확대해 수소산업 양적 성장 촉진해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09.21 15:42

21일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 활용처 모색’ 국회 정책토론회 개최



조홍종 교수 "수소모빌리티 핵심 엔진, 대규모 연료전지 기술·경쟁력 확보가 중요"

5555

▲21일 열린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 활용처 모색’ 국회 정책토론회에서 패널들이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수소모빌리티의 핵심 엔진 역할을 하는 대규모 연료전지 기술·경쟁력 확보가 청정수소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가장 중요한 정책방향 중 하나입니다."

조홍종 단국대 교수는 21일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 활용처 모색’ 국회 정책토론회에서 "대규모 연료전지 보급을 통해 연료전지의 생산·설비단가 하락을 유도하고, 원천기술 개발을 기반으로 경쟁력 있는 수소모빌리티 확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수소경제 초기 대규모 연료전지 발전을 확대해 수소산업의 양적 성장을 촉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날 발표에서 조 교수는 "수소에너지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고, 고정적·대량 수요 확보가 가능한 고출력·장거리 상용차 중심으로 친환경 수소모빌리티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량의 고정적 수요를 통해 수소모빌리티 전환을 견인할 수 있는 수소충전소도 선제적, 연쇄적으로 구축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조 교수에 따르면 올해 수소모빌리티 보급 실적은 정부가 제시한 전환목표 대비 37% 수준으로 보급률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명확한 보급정책으로 대규모 버스·트럭 중심의 수소모빌리티 전환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국과 대조적이다. 중국의 경우 2020년 7월 기준 기준 수소차 총 7200대가 보급됐으며, 이중 수소버스가 약 7000대 규모로 세계 수소상용차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조 교수는 "연료전지의 생산·설비단가 하락 및 원천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연료전지 기술경쟁력을 활용해 국내 수소버스·트럭 등 상용차 중심으로 수소모빌리티 보급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간에서도 연료전지 보급을 통한 발전용 수소 활용처 마련 필요성이 동시에 제기됐다.

이날 토론회에서 문상진 두산퓨얼셀 본부장은 "발전용 연료전지는 초기 수소경제 투자 및 수소 수요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며 "발전용 수소가 국내 수소 수요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수소경제의 핵심 수요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문 본부장은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확대 전, 관련 산업생태계에서 중소기업이 처한 운영난 해소가 먼저라는 입장을 제시하기도 해 주목을 끌었다.

그는 "신재생에너지에서 청정수소로 발전용 연료 보급 의무화가 이뤄지는 제도 전환기(RPS→CHPS)의 불확실성에 의해 관련 중소기업은 수주 공백의 장기화가 이어지고 있다"며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협력업체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공장 가동률 하락과 정규고용 유지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협력업체들은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로드맵’ 보급 목표를 기반으로 생산설비를 투자했으나 현재 유휴시설로 전락한 상황이나 마찬가지"라면서 정부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문 본부장은 △500MW 이상의 입찰시장 개설을 통한 산업생태계의 ‘양적 확대’ △입찰시장에 대규모(100MW급) 발전사업을 포함한 ‘질적 확대’ △수퍼스테이션(EV+FCV+발전)에서 발전 및 전기판매 동시 허용 등을 해결책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국내 수소모빌리티 시장을 견인하고 있는 현대자동차는 그룹차원에서 노력에도 불구 수소상용차 보급에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 신승규 현대자동차 상무는 "현재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아직 일반 고객들의 수소산업에 대한 수용도가 약하고 타 제품 대비 비용 부담과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불편함 애로 사항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 상무는 "특히 버스시장에서는 저가를 무기로 한 중국산 전기 버스의 국내시장 점유 확대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며 "수소전기버스로의 전환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대책 마련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현대차는 대형 상용차량이 수소에너지 활용에 유리하다는 판단 아래 대형트럭, 대형버스 위주의 상품을 개발·출시해 국내에 도입 중이다.

이번 정책토론회를 주최한 권명호 국민의힘 산자중기위 위원은 "국내 많은 기업들이 청정수소 생산을 위해 투자하고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히 발전분야와 수송 분야 등에서 대규모 수요 창출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며 "이날 제시된 여러 의견이 정책적으로 개진될 수 있도록 꼼꼼히 챙기겠다"고 밝혔다.

youns@ekn.kr
김연숙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