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만기 연장·상환 유예 조치 연장 및 재도약 지원방안 관련 간담회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상환 유예 관련 간담회에서 "이번 연착륙 방안은 종전의 4차 재연장과 다르다"며 이같이 밝혔다.
금융위는 이날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중소기업·자영업자 만기 연장·상환 유예 조치를 재연장 한다고 발표했다. 만기 연장 차주는 최대 3년간, 상환 유예 차주는 최대 1년간 지원 조치를 연장할 수 있다. 정상적인 부채상환이 어려워진 경우 금융권 자체 채무조정 프로그램이나 새출발기금 등을 활용한 재기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김 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상환유예 지원기간 중 정상영업 회복 이후의 정상 상환계획을 선제적으로 마련하도록 하고, 정상 상환이 어려워 채무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차주에게는 새출발기금 등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상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부여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융권에 두 가지를 부탁한다고 협조를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오늘 방안이 현장에 혼란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영업점 창구단까지 제도 내용을 잘 알려주시고 이행상황을 잘 점검해주시길 부탁드린다"며 "금융회사 자체 프리워크아웃 제도를 재정비해 차주의 개별 특성에 맞는 채무재조정이 이뤄질 수 있게 해주실 것을 요청드린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금융권과 두 달 동안 굉장히 많은 논의를 했다"며 "채무 재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부채 상환 부담을 경감받는 트랙과 (상환 유예를 받아) 나름대로 노력해 경영을 정상화해서 가는 트랙, 두 가지로 갈 수 있는 길을 열어놨다"고 했다.
그는 금융권 일선 직원들이 각 차주의 어려움을 살펴야 정책적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일선에서 정책 취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어려운 분들에 대한 애정 없이 기계적으로 업무를 하면 정책적 효과가 살아나지 않는다"며 "일선에서 차주에 대한 애정을 갖고 어려움을 살펴 도움이 될 수 있는 대화를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어 "부채 문제는 차주와 금융기관의 양자 관계"라며 "가능하면 협의를 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해결책을 찾는 게 가장 기본적인 시스템이다"라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