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10곳 중 9곳 “경제위기 1년 이상 갈 것”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09.28 17:22

76.6% “원자재 가격 가장 부담”…납품단가 반영 비율 2.5%
김기문 회장 “납품단가 연동제 법제화·대출만기연장 시급”

보도220-(붙임)사진1

▲28일 롯데호텔 제주에서 열린 ‘2022 중소기업 리더스포럼 기자간담회’에서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중소기업중앙회

[에너지경제신문 김하영 기자]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이 지금의 경제 위기가 1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8일 롯데호텔 제주에서 열린 ‘2022 중소기업 리더스포럼 기자간담회’에서 이달 7~20일 실시한 ‘복합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중소기업 실태조사’(중소기업 500개사 대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10곳 중 7곳(65.0%)은 최근 경제상황을 ‘위기’라고 인식하고 있음에도, 그중 22.5%는 별다른 대응 방안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중소기업의 86.8%는 ‘지금의 경제 위기가 최소 1년 이상(내년 하반기 이내 50.2%, 내후년 이후 36.6%)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중소기업계도 위기 대응을 위해 ‘생산비·인건비 등 원가절감 계획’을 세우거나(51.7%), ‘신규 시장개척’(36.9%) 등을 준비하고 있었지만, "별다른 방안이 없다"고 응답한 중소기업도 22.5% 차지했다.

특히, 지난 2년간 폭등한 원자재 가격 등으로 촉발된 고물가 상황에 대한 부담이 가장 높았다.

중소기업이 가장 부담을 느끼는 요인은 ‘원자재가격 급등’이 76.6%로 나타났으며, ‘금융비용(이자) 부담 증가’(13.5%), ‘환율 상승’(7.1%), ‘인력난 심화’(2.8%) 등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72.8%가 지난해보다 비싼 가격으로 원자재를 구입하고 있지만, 가격상승분을 납품단가 또는 판매가에 전부 반영한 중소기업의 비율은 2.5%에 그쳤다.

중소기업계는 고물가 상황에서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 △원자재가격 및 수급정보 제공 지원 강화(67.8%) △원자재 구매금융·보증 지원 강화(35.6%) △납품단가 연동제 조속한 법제화(33.2%) △조달청 비축 원자재 할인 방출(14.0%) 등을 요구했다.

또한, 최근 한국과 미국 등 주요국들의 금리 인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 중소기업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고금리 현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중소기업은 69.2%로 나타났지만, 중소기업 99.6%(방안 없음 56.4%, 마련하고 있으나 다소 불충분 43.2%)가 고금리 리스크에 대응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계는 고금리 극복을 위한 정부 정책으로 △중소기업 우대금리 적용 확대(40.4%) △만기연장·상환유예 대상 확대(37.8%) △정책자금 지원 확대(34.6%)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중소기업들이 당면한 복합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고비용 경제구조를 개선해 중소기업의 위기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며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공급망 위기대응 △중소기업 금융비용 부담 완화 △고용·노동정책 대전환 △중소기업 혁신성장 여건 마련 등 4대 정책과제를 제안했다.

김 회장은 이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은 중소기업은 요즘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인력난 등 4중고에 원자재 가격도 천정부지로 올라 최악의 경영난에 직면했다"면서 "납품단가연동제 법제화, 대출만기연장 조치 연착륙, 대·중소기업의 노동시장 격차 해소 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위기상황 지속기간 예상. 자료=중소기업중앙회

▲위기상황 지속기간 예상. 자료=중소기업중앙회

김하영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