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저축은행 2억원대 횡령사고 발생
서류위조 등 금융사 횡령수법 천차만별
내달 시중은행장 국정감사 증인 줄소환
![]() |
▲(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올해 들어 시중은행, 저축은행 등 업권을 가리지 않고 횡령 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다음달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횡령을 비롯한 금융사고 전반에 대한 책임소재 등이 주요 화두가 될 전망이어서 금융사들이 긴장하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OK저축은행 부평지점에서 A 과장이 고객 예금을 본인 및 배우자의 계좌로 송금하는 방식으로 약 2억원을 횡령했다. 횡령액은 고가의 외제차량 구입 등에 사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OK저축은행은 해당 사건을 인지한 직후 전수조사를 진행했으며, 구체적인 횡령액과 경위 등에 대해서도 조사 중이다. 아직까지 공범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OK저축은행 측은 "해당 금액은 전액 환수 조치하고, 직원에 대해서는 가용한 법적조치를 적극적으로 취할 예정"이라며 "재발 방지를 위해 내부통제 시스템을 개선 및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횡령사고 재발방지를 위해 직원 교육,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강화하고 있지만, 수법이나 횡령액 등이 천차만별인 탓에 이를 조기에 적발하는데 애를 먹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에게 제출한 ‘국내 금융업권 임직원 횡령 사건 내역’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금융사에서 횡령을 한 임직원 수는 181명, 횡령액은 1192억3900만원에 달했다.
금융권에서 발생한 주요 횡령 사고를 보면 이달 모아저축은행 전 직원 B씨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 초까지 저축은행 본점에서 근무하면서 기업용 대출금인 은행 자금 58억9000만원을 가로챈 혐의로 징역 8년을 선고받았다. 그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업무를 담당했는데, 기업이 은행에 약정 대출금을 요청하는 것처럼 허위로 서류를 작성해 은행 자금을 가로챈 것으로 전해졌다. 빼돌린 대출금은 도박 등에 탕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은행 본점 기업개선부 직원은 2012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8년간 친동생과 함께 총 8차례에 걸쳐 회삿돈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됐다. 검찰은 최근 93억원 상당의 횡령액을 추가로 확인해 이들이 횡령한 금액은 총 707억원으로 늘었다.
금융권 횡령사고는 이번 국정감사에서도 쟁점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정무위는 다음달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진옥동 신한은행장, 이재근 KB국민은행장, 박성호 하나은행장, 이원덕 우리은행장, 권준학 농협은행장 등 5대 시중은행장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정치권은 시중은행에서 발생한 횡령, 배임사고의 원인과 책임 소재, 재발방지 대책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할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임직원 교육을 비롯해 내부통제 개선 방안, 횡령사고 진행 현황 등을 질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5대 시중은행장이 국정감사 증인으로 줄소환된 것을 두고 ‘호통 국감’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상당하다. 또 다른 관계자는 "내부통제 강화는 금융사들의 영원한 숙제"라며 "은행의 내부통제 프로세스나 개선 방안 등에 대해 질의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CEO가 아닌 은행 실무자를 증인으로 채택해도 무리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