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한국은행. |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대출금리가 3% 수준에서 1%포인트 상승하면 대출자 1인당 가계대출 증가 폭이 294만원에 138만원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30일 조사통계월보에 실린 ‘가계대출의 금리민감도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2012년 이후 가계대출 변동(전기대비 증감)과 대출금리 간 움직임을 살펴본 결과 가계대출 변동 폭은 대출금리 하락기에는 확대되는 반면 상승기에는 축소되는 등 대출금리와 반대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왔다고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금리 상승기에 금리 민감도가 더 높았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출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가계대출 변동 폭이 평균적으로 전기 대비 26조8000억원 축소됐다. 반면 금리 하락기에는 13조3000억원이 확대됐다.
개별차주별로 보면 소득수준과 소득대비대출비율(LTI)이 높을 수록 금리 변화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취약차주일수록 금리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소득수준과 부채비율이 높은 차주는 상대적으로 부동산 구입과 사업자금 목적은 대출 비중은 높으나, 쉽게 줄이기 어려운 생계유지 목적의 대출 비중은 낮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실제 금리상승기에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고소득 차주 대출은 221만원 줄었는데, 중소득 차주는 57만원, 저소득차주는 38만원 감소했다.
보고서는 차주 특성 외에 자산가격 변화, 대출금리 구조, 경제상황 등 다양한 요인을 감안해 추가로 패널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대출금리 상승은 가계대출 증가 폭을 제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수준별로 보면 금리 상승의 가계대출 증가 억제효과는 금리 수준이 높아질 수록 더 확대됐다.
2012년 1분기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대출금리가 3% 수준에 있으면 1분기 동안 차주당 가계대출은 평균 294만원 증가했다. 금리가 0.5%포인트, 1%포인트 오르면 가계대출 증가 폭은 각각 227만원과 138만원 수준으로 감소하면서 가계대출 증가율이 둔화됐다.
이를 전체 가계대출로 환산하면 대출금리가 3% 수준이었을 때 1분기 동안 34조1000억원 늘었던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0.5%포인트 오르면 26조3000억원, 1%포인트 오르면 16조원 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민감도는 코로나19 이후 더 높아졌다. 고소득·고레버리지·저연령 차주 등 금리 민감도가 높은 차주의 대출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 코로나19 이후 자산가격 상승률과 대출 금리간 격차가 확대돼 가계의 레버리지 투자가 늘어난 점이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보고서는 "지난해 8월 이후 단행된 기준금리 인상이 가계부채 증가세와 금리불균형 위험을 완화시키는 데 적지 않은 효과가 있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했다.
이어 "단 취약계층의 경우 금리민감도가 낮아 금리가 오르더라도 대출 증가세를 둔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며 "가계부채 누증 완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는 가운데 취약 부문의 신용위험 증대 가능성에도 면밀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