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석유 등 수입물가 급등으로 무역 적자가 확대되는 가운데 전기 소비량을 연간 10% 줄이면 무역적자를 59% 개선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전경영연구원은 올해 기준 연간 전력 소비량을 10% 절감하면 액화천연가스(LNG) 발전량이 57.8TWh(테라와트시) 감소해 LNG 수입량이 4.2MMBtu(열량 단위)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했다. 전기소비량이 10% 줄면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에너지 수입액은 878억달러에서 817억2000만달러로 7.0% 감소하고 무역적자는 103억달러에서 42억2000만달러로 줄어든다는 분석이다.
올 들어 9월까지 누적 수출액(5249억달러)은 연도별 역대 최대 규모지만, 누적 수입액(5538억달러)도 사상 최대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른 에너지 공급 불균형으로 작년 6월 이후 16개월 연속으로 수입 증가율이 수출 증가율을 웃돌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지난 4월부터 6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연구원은 국제 연료 가격 급등에도 국내 전기요금의 가격 신호가 전달되지 않아 전기 과소비가 유발되고, 이에 따라 무역 수지 적자 뿐 아니라 환율과 물가 상승의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비효율적인 전기 소비는 환율 상승과 무역 적자를 유발한다"며 "피크 발전 설비인 LNG 발전이 증가해 연료 수입량이 늘어나면 달러 수요를 증가시켜 외환시장에서 환율 상승을 부추기고 무역 수지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국내 물가 상승은 수입 물가 상승이 원인이라고 지목했다. 실제 우크라이나 전쟁과 작황 부진으로 석유, 가스, 곡물 등의 수입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여기에 환율 상승이 겹쳐 소비자·생산자 물가에도 파급되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