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감독원.(사진=에너지경제신문) |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금융감독원이 22조7000억원에 이르는 태양광 대출·펀드에 부실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고 점검을 확대한다.
10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금감원은 태양광 대출과 관련 비중이 가장 큰 은행권을 중심으로 자체 점검을 진행해 부실 현황을 보고하도록 할 계획이다.
앞서 금감원은 은행권의 태양광 대출 현황과 관련 전화 방식 등으로 기본 실태를 파악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부실 우려가 제기됐고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등에 태양광 대출 후 공사 진행률이나 상환 능력을 보여주는 세부 지표를 점검해 보고하도록 할 계획이다.
중소 서민금융사들 태양광 대출 현황도 더욱 세밀히 들여다 본다. 금융당국은 태양광 대출의 연체 상황이 심각하지는 않지만 장기 대출이라 건전성 분류가 제대로 됐는지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금감원은 먼저 은행들의 자체 점검 후 필요하면 현장 검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태양광 관련 펀드도 마찬가지로 진행한다. 금감원은 태양광 펀드 자산운용사와 태양광 펀드 현황 등의 기초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고, 잠재 위험 파악을 위한 추가 점검을 시작했다.
이를 위해 금감원은 자산운용사에 태양광 대출자·사업장 현황에 대한 자료를 요청했다. 태양광 펀드는 31개 자산운용사가 보유한 111개 펀드 산하에 연관된 차주와 사업장이 많아 추가 분석에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다.
금감원에 따르면 금융권의 태양광 발전 사업 지원 규모는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대출 취급액 16조3000억원, 펀드 설정액 6조4000억원 등 총 22조7000억원이다. 종류별로 보면 일반 자금 14조7000억원, 정책 자금 1조5000억원이 가장 많다. 은행 7조원, 중소서민금융 7조4000억원, 보험 1조9000억원을 대출했다. 태양광 펀드는 31개 자산운용사가 총 111개 사모펀드로 6조4000억원을 설정했다.
태양광 관련 대출·펀드 잔액은 8월 말 기준 대출 11조2000억원, 사모펀드 6조4000억원으로 총 17조6000억원이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