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A 업데이트 기본 적용···데이터 기반 개인화 서비스 개발
로보택시·로봇 등 하나의 계정으로 연동…“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
![]() |
▲현대차그룹이 ‘Unlock the Software Age’에서 발표한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의 개념도 |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2025년까지 모든 차종을 ‘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SDV)로 전환한다.
현대차그룹은 12일 온라인 기술 발표회 ‘소프트웨어로 모빌리티의 미래를 열다’를 열고 커넥티드 카 관련 향후 비전을 공개했다.
회사는 우선 2025년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차종에 무선(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기본 적용할 계획이다. 차세대 차량 플랫폼과 통합 제어기, 자체 개발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바탕이 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시장·고객 요구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게 업체 측 구상이다.
현대차그룹은 SDV 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전세계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 가입한 차량이 올해 말 기준 1000만대에서 2025년 2000만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많은 커넥티드 카에서 빅데이터가 생성되는 만큼, 이를 활용해 기존에 없던 가치와 가능성을 만든다는 목표로 설정했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구독 등 고객마다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밖에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차 생애주기 전반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서로 연결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이를 가공해 혁신 서비스를 창출하는 한편 물류, 쇼핑, 레저, 숙박 등 다양한 이종 산업과도 제휴를 생각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또 글로벌 소프트웨어센터를 중심으로 미래 모빌리티와 로지스틱스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중심의 모빌리티용 디바이스와 솔루션도 개발한다고 선언했다.
나아가 미래 모빌리티 제품군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개발해 하나의 계정만으로도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로보택시, 로봇 등과 연동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대차그룹은 이처럼 소프트웨어 중심의 개발 체제로 기업의 구조를 전환함에 따라 수익성이 상당 부분 향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품과 모듈 공용화, 설계 효율화, 다양한 서비스 출시 및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 |
▲현대차그룹이 ‘Unlock the Software Age’에서 발표한 콘셉트인 ‘소프트웨어 하우스’의 구조도 |
현대차그룹은 추가 투자 여력을 확보하고 상품성 강화, 신사업 발굴 등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융합하고 모빌리티 기술 역량을 고도·내재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기술력 강화에 총 18조원을 투입한다.
박정국 현대차그룹 연구개발본부장(사장)은 "우수한 하드웨어 기술 위에 우리만의 최적화된 전용 소프트웨어 기술을 더하고 그 적용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가치 있는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며 "현대차그룹과 함께하는 고객들은 보다 풍요로운 삶과 새로운 가치를 발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