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천영길 에너지산업실장 주재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자체 간담회’ 개최
![]() |
▲경남 에너지융복합산업단지 예정도.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천영길 산업부 에너지산업실장 주재로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자체 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계획을 공유했다.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는 지역별로 특화된 에너지산업과 에너지 연관 산업의 기업·기관·연구소 등이 모여 있어 비용 감소와 기술혁신 등의 융·복합 효과를 가져오는 클러스터다. 현재 광주ㆍ전남, 전북(새만금), 충북, 경남, 부산ㆍ울산, 경북 등 6곳에서 8개 지자체가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로 지정돼 있다.
산업부는 화력발전 관련 기업을 중심으로 조성된 경남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의 중점 산업에 원자력 제조분야 산업을 추가 지정하고 지역 투자를 촉진해 원전 기자재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올해부터 오는 2026년까지 창원국가산업단지 일대에 원전 생태계 복원을 위한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를 조성해 관련 에너지 특화기업 20곳을 육성하고 핵심기술을 확보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담았다.
산업부는 에너지특화기업 신규 지정계획에 따라 다음달 23일까지 에너지특화기업 신규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입주 기업 중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에너지특화기업으로 지정해 연구개발(R&D) 지원 등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간담회에서 8개 지자체에서는 해당 지역별 에너지중점산업을 중심으로 추진현황을 보고하면서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신규 지원사업과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에너지융·복합단지법의 지정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에 대한 공동대응을 제안했다.
산업부는 지자체별 에너지산업과 연관산업의 집적 및 융·복합 현황을 실태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의 보다 확장적인 발전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천영길 산업부 에너지산업실장은 "에너지융·복합단지법 개정이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지역별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가 클러스터로 자리 잡기 위해 효과적이고 가시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지자체와 협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