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후변화 전문가, 내달 이집트 총출동…나경원 등 국내 인사도 대거 참석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0.30 09:35

에너지위기서 탈석탄 속도조절·후퇴 움직임 우려·경고 메시지 나올 수도

clip20221028165609

▲나경원 기후환경대사(오른쪽)과 반기문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의장이 지난 27일 만나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 전망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한국의 역할 등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외교부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다음달부터 열리는 제27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 국내 인사들을 비롯한 글로벌 기후변화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다.

30일 외교부 기후변화외교과에 따르면 다음달 6일부터 18일까지 이집트 샤름 엘셰이크에서 열리는 COP27 정상회의에 나경원 기후환경대사 등이 정부 대표로 참석한다.

COP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관련 ‘최고의사결정기구’다. 협약 가입국 정상급 인사들이 모여 기후위기를 어떻게 헤쳐나갈지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다.

□ 제27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 국내 참석 주요 인사

 이름소속직책
 이회성IPCC의장
정부나경원기후환경대사대통령 특별 사절
김상협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민간위원장
한화진환경부장관
김효은외교부기후변화대사
비정부유영숙기후변화센터이사장
김주진기후솔루션대표
(자료=각 기관)

이회성 기후변화 정부간 패널(IPCC) 의장은 COP27에 참석해 올해 2월과 4월 발표한 IPCC 6차 평가보고서 2실무그룹 보고서와 3실무그룹 보고서를 홍보하고 앞으로의 IPCC 활동 계획을 알릴 계획이다. 2실무그룹보고서에는 기후변화 적응 취약성 평가, 3실무그룹보고서에는 온실가스 감축 관련 기후변화 완화 방법 평가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나경원 대사는 윤석열 대통령 특별 사절로 참석한다. 지난 18일 기후환경대사로 임명된 뒤 첫 번째 행보다. 나 대사는 지난 2015년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고위급 세션에 한국 대표로 참석한 바 있다.

2기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를 이끌 김상협 민간위원장도 참석한다. 김 위원장은 이명박 정부 때 녹색성장 기획관을 맡으며 2009년부터 빠짐 없이 COP에 참여했다.

정상회의 수석대표로는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참석한다. 한 장관은 지난 28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학계, 국책연구기관 등 전문가들과 함께 COP27 주요 기후협상 의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교체수석대표로는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가 참석한다. 김 대사는 지난해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COP26에서도 차석 대표로 참석해 개막부터 폐막까지 협상을 이끌었다. 김 대사는 지난 2007년부터 2015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COP21을 포함해 6번 이상 COP를 참가한 기후변화 다자협력 분야 전문가다.

외교부 관계자는 "아직 임명절차 등 과정이 남아있어 모든 참석자가 확정된 건 아니지만 산업통상자원부나 해양수산부, 농림식품축산부, 기상청, 산림청 등 기후변화와 관련된 여러 정부 기관에서 참석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COP27엔 약 90개국 정상과 환경단체, 지역 사회단체, 싱크탱크, 기업, 종교단체 등이 참석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유영숙 기후변화센터 이사장과 김주진 기후솔루션 대표, 장다울 그린피스 전문위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COP27에서는 선진국에 기후변화 적응 지원과 기후변화로 인한 ‘손실과 피해’에 대한 배상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COP가 아프리카에서 열리는 건 모로코에서 지난 2016년 열린 COP22 이후 6년만이다. COP27이 개도국인 이집트에서 열리는 점도 개도국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COP26에서 채택된 ‘글래스고 기후 조약’에는 미국과 EU(유럽연합) 등 선진국의 반대로 손실과 피해 관련 기금 조성 내용이 담기지 않았다.

COP27에선 석탄화력발전 감축에 대한 내용도 의제로 다뤄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최근 에너지위기를 맞아 일부 국가를 중심으로 탈석탄 정책 속도조절 또는 후퇴 움직임을 보이는 것에 대한 우려나 경고의 메시지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난해 열린 COP26 참가국들은 올해 말까지 2030 탄소배출량 감축목표를 재검토하고 강화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외신 등에 따르면 지난달 23일까지 약속을 이행한 국가는 193개국 가운데 19개국에 불과하다.

글래스고 기후 조약에 석탄화력발전 단계적 감축이 명시된 만큼 이번 COP27에서는 선진국뿐 아니라 개도국에서 석탄발전을 어떻게 줄여갈지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한국도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등의 석탄발전소에 투자한 상황이다. 따라서 석탄화력발전 단계적 감축에서 한국의 역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claudia@ekn.kr

오세영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