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값 4000달러 코앞…월가 거물 ‘켄 그리핀’의 진단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0.07 10:34
PRECIOUS-GOLD/LBMA

▲골드바(사진=로이터/연합)

국제금값이 연일 치솟으면서 시세가 '4000달러 고지'를 향하는 가운데 미 월가의 억만장자 투자자인 켄 그리핀 시타델 최고경영자(CEO)는 투자자들이 금을 달러보다 더욱 안전한 자산으로 여기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리핀 CEO는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미국 주권 리스크로 투자자들이 효과적으로 탈(脫)달러, 혹은 포트폴리오를 디리스킹하는 과정에서 달러에서 다른 자산으로 상당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런 현상이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이 지속하면서 달러화는 가치 하락 압력을 받고 있으며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마저 커지면서 금값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물 국제금 선물 가격은 온스당 3976.30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 3일 사상 처음으로 3900달러선을 넘어선 금 시세는 4000달러 돌파까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이다.



그리핀 CEO는 특히 현재 미국의 재정·통화 정책에 대해 우려하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미국의 재정 및 통화 정책은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기 때 발생하는 것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이는 시장을 자극하고 있다"며 “현재 미국 경제는 일시적이지만 강한 모멘텀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리핀 CEO는 또 미국 정부가 전문직 비자(H-1B) 스폰 비용을 10만달러 인상하더라도 자사 인재 확보에 중대한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행히도 우리는 한 사람을 고용하는 데 드는 10만 달러의 일회성 비용에도 위험이 되지 않는 경제 분야에 속한다"며 “뛰어난 인도 학생이 미국으로 오지 않거나 수학·물리학에 재능 있는 학생이 중국에 남기로 결정하는 것이 더 걱정된다"고 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