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모니아 혼소 기술 실증 프로젝트 예산 삭감
청정수소입찰 취소 이어 예산 전액 삭감 시사
“2040 석탄 퇴출 기조에 부합”
▲정부와 여당은 내년도 기후에너지환경부 예산안에서 석탄 암모니아 혼소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자료=2026년도 기후에너지환경부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정부가 석탄-암모니아 혼소 발전기술 개발사업을 전면 중단, 2040년 탈(脫)석탄 정책을 공식화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는 지난 10월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청정수소발전시장(CHPS) 입찰을 전격 취소한 데 이어, 석탄 기반 혼소 기술 자체를 정책적으로 정리하는 수순으로 해석된다.
예산 전액 삭감 시사…“2040 석탄 폐지 예정, 기술 실효성 낮아"
24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가 심사 중인 2026년도 기후부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에 따르면, 'USC급 보일러 암모니아 혼소 발전기술 개발 및 실증' 사업 예산이 사실상 전액 삭감될 예정이다.
이 사업은 고효율 초초임계압(USC) 석탄보일러를 대상으로 암모니아를 혼합 연소하는 기술을 실증해 상용화 기반을 구축하려는 연구개발(R&D) 프로젝트였다.
그러나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는 “2040년까지 석탄발전 전면 폐지가 예정돼 있어 암모니아 혼소 기술은 상용화 이후 실제 활용 가능성이 낮다"며 “높은 암모니아 도입 가격으로 경제성 확보도 어렵다"며 예산 삭감 필요 의견을 밝혔다.
이에 따라 기후위는 올해 예산 38억4300만원 중 35억4300만원 감액(92.2%)을 요구했으며, 위원회 소속 이소영 의원은 전액 삭감(38억4300만원) 의견을 제시했다.
청정수소입찰 취소 후속 조치...전소로 전환 가속화 될 듯
이번 예산 삭감은 지난달 17일 청정수소발전(CHPS) 경쟁입찰 돌연 취소와 직접 맞물린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당시 입찰 중단 사유로 “정책 정합성 검토 필요"를 들며 석탄-암모니아 혼소 및 LNG-수소 혼소 발전 관련 세부 기준을 재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참조> 본지 [단독]김성환 기후부 장관, 화석연료 퇴출 '속도전'…청정수소발전 입찰 전격 취소
현재 기후부는 석탄 혼소 부문을 제외하고 LNG·수소 혼소 중심으로 입찰을 재공고하는 방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예산 삭감으로 석탄-암모니아 혼소는 사실상 폐지·퇴출이 공식화된 셈이다.
정부 관계자는 “혼소 기술은 탄소 감축 중간 단계로 한때 주목받았지만, 2040년 석탄 전면 폐지 일정과 맞물려 정책적 실익이 사라졌다"며 “수소 전소(全燒) 중심으로 기술개발 방향을 재정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에너지업계도 이번 조치를 '화석연료 기반 탄소저감형 발전 단계의 종언'으로 해석하고 있다.
한 발전공기업 관계자는 “혼소는 완전한 전환 기술이라기보다 과도기적 타협이었는데, 이번 결정은 정부가 '중간단계 생략 후 직접 무탄소로 가겠다'는 시그널"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와 여당의 석탄 암모니아 혼소기술 중단은 우리와 에너지 여건이 비슷한 일본과는 정반대 모습이다.
일본도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는 가운데, 석탄발전의 단계적 전환 전략으로 암모니아 혼소 기술을 유지·확대하고 있다. 경제산업성은 2030년까지 석탄발전소의 20% 혼소, 장기적으로는 암모니아 전소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일본 최대 발전사인 제라(JERA)를 중심으로 대규모 실증 사업과 공급망 구축이 진행 중이다. 이는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를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