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어려워 RE100 불리…인정 기준 완화해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1.02 16:12
개회사 하는 박일준 2차관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2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서 개회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한국이 상대적으로 재생에너지를 보급하기 어려워 RE100(기업 사용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을 이행하기 불리한 환경이라고 분석됐다. 이에 RE100 이행 인정기준 등을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한 ‘탄소중립 미래를 위한 RE100 국제 컨퍼런스’에서 이같은 주장이 나왔다.

우리나라는 RE100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국토면적이 좁고 수력·바이오 에너지 잠재량이 적어 재생에너지 공급량과 가격 측면에서 불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에너지 전문 컨설팅 기업인 KEI컨설팅은 "제한적인 재생에너지 보급 여건으로 인한 높은 구매·투자 비용이 국내 RE100 이행의 가장 큰 장애 요인"이라며 "이러한 여건을 고려한 유연한 이행 인정 기준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패널토론에서도 한국, 대만 등의 재생에너지 조달 여건이 유럽연합(EU), 북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며 재생에너지 조달·인정 기준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정용훈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국가별로 재생에너지 가격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RE100은 국가별 여건을 고려해 진행돼야 한다"며 "탄소중립을 위해 실시간 사용 전력의 무탄소화를 목표로 하는 ‘CF100’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연우 산업부 재생에너지정책관은 "정부는 재생에너지 사용에 차질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보급을 확대하는 한편 RE100 기업 대상 인센티브를 다각도로 검토해 기업 부담을 완화하겠다"고 말했다.
wonhee4544@ekn.kr

이원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