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해운산업 위기 돌파구 찾는다… "가용자산·역량 총동원"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1.07 14:00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3조원 규모 지원



한국형 컨테이너 운임지수(KCCI) 공식 출범

해수부

▲지난 4일 비상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조승환 해수부 장관이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해양수산부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정부가 불황이 예고되는 해운산업의 구원투수로 나섰다. 일각에서 해운업계가 ‘다운사이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해운운임이 가파르게 하락하는 동시에 경기 침체로 인해 물동량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지난 4일 ‘시황 변동에 따른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발표 내용에는 국적선사에 1조원 규모 위기대응펀드, 공공 선주 사업, 한국형 컨테이너 운임지수(KCCI) 등 3조원 규모 지원책이 담겼다.

7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컨테이너부문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는 지난 4일 기준 1579.21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1월 14일 5109.60 기준 69%나 하락한 수치다. 건화물 운임인 발틱운임지수(BDI)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BDI지수는 이달 4일 기준 1290.0으로 지난해 평균값인 2943.0에 비해 56% 떨어졌다. 벌크 선사들은 통상 화주와의 장기계약을 통해 운임을 보존받고 있지만, 단건으로 계약하는 스팟(Spot) 사업은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현재 해운운임이 하락하는 것은 코로나19 이연소비로 지나치게 높았던 부분이 정상화되는 과정"이라면서 "혹여나 해운운임이 지나치게 빠지는 경우에 대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지난 4일 비상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국적선사 지원안을 발표했다. 핵심 추진과제는 △3조원 규모 경영안전판 마련 △ 해운시황 분석·대응 고도화 △해운산업 성장기반 확충 △친환경·디지털 전환 선도 등 네 가지다. 해수부는 이를 통해 2027년까지 해운 매출액 58조원, 국적선대 1억2000만t, 원양 선복량 130TEU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수부는 먼저 내년 상반기에 1조원 규모의 위기대응펀드를 조성해 고위험 선사 구조조정과 인수합병을 지원한다. 펀드 기금은 HMM 배당금을 재원으로 마련된다. 또한 중소선사 대상 투자 요율과 보증 요율을 대폭 인하해 2500억원을 지원한다. 아울러 2026년까지 최대 50척의 선박을 확보, 국적선사에 임대하는 공공 선주 사업도 추진한다.

해수부는 SCFI가 국내 해운업계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판단하에 한국형 컨테이너 운임지수(KCCI)를 이날 발표했다. SCFI는 상하이항에서 출발하는 15개 항로의 운임을 반영한 지수다. 반면 KCCI는 부산항에서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지로 출발하는 운임을 반영한다. 인천·부산항 인근에서 움직이며 해운운임 계산에 어려움을 겪었던 중·소형 선사는 도움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정부는 시황 변동에도 우리 선사가 안정적으로 경영될 수 있도록 가용자산과 역량을 총동원할 것"이라며 "해운산업이 앞으로도 서비스 수지 흑자를 지속 견인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 2027년까지 국적선사의 수송 능력을 20% 확대, 중소 화주의 물류비 30% 절감 등 우리 수출입 물류도 든든히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