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외인 쌍끌이 매수...코스피 2370선 마감
10월 소비자물가지수, 중간선거 결과 주시
공화당 승리시 바이든 정책동력 약화 우려
"선과결과 무관 IRA 법안 유지, 증시 영향 제한적"
![]() |
▲사진=연합 |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미국 중간선거를 이틀 앞두고 코스피는 상대적으로 무난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금리 상승,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경기침체 우려 등 대내외적인 악재가 가득한 탓에 중간선거에는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중간선거에서 야당인 공화당이 승리할 경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 추진력은 약화되나, 국내 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개정되거나 폐기될 가능성은 낮은 만큼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상장사에 대한 실적 눈높이가 낮아지고 있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성향이 지속되는 점이 투자심리에도 부정적이라는 평가다.
7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3.36포인트(0.99%) 오른 2371.79에 마감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투자자와 외국인은 각각 2767억원, 1124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지수 반등을 이끌었다. 개인 홀로 4064억원어치를 팔아치우며 차익실현에 나섰다.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6.59포인트(0.95%) 오른 700.48에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10일(현지시간) 발표되는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8일 치러지는 중간선거 결과를 주시 중이다. 만일 8일 중간선거에서 시장 예상대로 야당인 공화당이 상원, 하원을 모두 장악할 경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 추진력이 떨어지면서 단기적으로는 국내 증시의 불확실성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역사상 중간선거 이후 미국 증시 수익률이 견조한 흐름을 보였지만, 이는 역대 중간선거가 대부분 경기 회복, 확장 국면에서 치러졌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오히려 경기하락국면에서 전개된 중간선거에서 지수 평균 수익률이 가장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 |
▲(자료=대신증권) |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1960년 이후 15번의 중간선거가 있었는데, 현재와 같이 경기선행지수가 하락국면이었던 1978년, 1994년, 2014년, 2018년 중간선거 당시 추이를 보면 10월 말 이후 10년 증시 평균 미국 증시 수익률은 11.87%로 전체 중간선거 평균(16.5%)을 하회했다"며 "이는 중간선거라는 단기 이슈가 아닌 펀더멘털 악화가 증시 수익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번 중간선거 역시 선거 결과보다는 경기, 펀더멘털 등이 증시 방향성을 좌우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승리한다고 해도 IRA 법안이 개정, 폐기할 가능성은 낮다는 점도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거론된다. 지난 8월 제정된 IRA 법안을 개정 혹은 폐기하기 위해서는 상원, 하원의 동의는 물론 조 바이든 대통령의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반대로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IRA 법안에 따른 모멘텀이 계속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를 고려할 때 중간선거보다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 경기 둔화, 인플레이션 등이 투자심리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연준이 2일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 강한 매파적 발언을 내놨던 만큼 10월 CPI가 시장 전망치를 하회한다고 해도 당장 금리인상 속도조절론이 부각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물가가 조금이라도 오른다면 금리가 재차 오르면서 투자심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공화당이 승리하면 재생에너지에 부정적이라는 일각의 우려는 맞지 않다"며 "공화당 지역구에 풍력, 태양광 일자리가 더 많고, 지원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공화당 의원들이 지역구별로 천문학적인 보조금을 받는 IRA를 흡집낼 이유는 없다"고 밝혔다.
ys106@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