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IRA 대응을 위한 업계 간담회…에너지 분야 추가 의견 수렴 대응 방안 모색
![]() |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서명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서울 중구 정동 상연재에서 IRA 대응을 위한 업계 간담회를 갖고 에너지 분야 추가 의견 수렴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정보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美 재무부 의견수렴 사이트에 따르면 친환경차 세액공제 관련 공지에만 830건의 의견이 제출되는 등 총 3795건의 의견이 제출됐다.
우리나라ㆍEUㆍ일본을 포함해 7개 국가가 의견서를 제출했으며 국내ㆍ외 자동차ㆍ배터리ㆍ소재 등 여러 업체ㆍ협회 등도 의견을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각국 행정부는 IRA의 차별적인 조치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이에 대한 개선을 촉구했다. 특히 EUㆍ일본 등도 최종 조립 요건 등 친환경차 세액공제 관련 우리가 제기한 문제들과 유사한 우려를 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친환경차 세액공제와 관련해 동맹국 생산 전기차ㆍ배터리가 북미 국가의 전기차ㆍ배터리보다 불리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최종 조립 요건 및 배터리 관련 요건을 완화해 줄 것을 제안했다.
EU는 친환경차 세액공제를 비롯해 IRA 전반의 차별적 조치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이 중 일부는 WTO 규정에 위반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주요 해외 완성차 업체는 친환경차 세액공제 요건 등 완화 의견을 집중적으로 제출했고 북미 내 친환경차 생산기반을 갖춘 주요 자동차 업체들은 배터리 요건 완화를 주로 제안했다.
아울러 이번에 의견을 제시한 주요 자동차ㆍ배터리 업체들은 대부분 배터리 요건 명확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2차 의견수렴은 친환경차, 청정시설 투자 및 청정생산ㆍ제조 분야를 중심으로 진행된 1차 의견수렴에 이어 청정수소 및 청정연료 생산, 탄소포집, 상업용 친환경차 및 대체연료 충전시설 관련 세제 혜택 조항에 대해 이해관계자 의견을 구하기 위해 진행된다.
이번 회의에서 산업부는 IRA가 제공하는 청정에너지 관련 다양한 인센티브의 주요 내용과 美 재무부 의견수렴 과정 관련 내용을 설명했다.
산업부는 "1차 의견수렴 과정에서 제출한 의견들을 분석해 美 행정부와의 실무협의 채널 등 양자적 협의를 통해 개선을 지속 요청할 계획"이라며 "2차 의견수렴 절차에서도 우리 기업의 입장을 고려한 구체적 제안들을 마련해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