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유동성 확보 경쟁, 금융시장 위험 확대...투자의견 중립"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1.24 09:33
2022112401001118200046901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시중은행이 저원가성 예금 이탈에 따른 과도한 유동성 확보 경쟁으로 금융시장 전반의 위험도가 확대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24일 "금융당국의 금융안정을 위한 적극적인 시장 개입에도 카드채 등 회사채 스프레드는 연일 상승하고 있고, 저축은행,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 주요 금융회사의 유동성 위험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 원인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라며 "과거 사례를 볼 때 단기간 과도한 금리 인상이 금융회사 및 기업의 유동성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보다 더 높은 기준금리 인상을 추진한 미국도, 금리 인상에 고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여타 선진국도 한국처럼 유동성 위험이 수면 위에 드러났다는 보도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한국은 7월에서 10월까지 4개월간 기준금리를 1.25%포인트(p) 인상했는데, 이 기간 은행 저원가성 예금은 전체 수신의 5%(저원가성 예금의 12%)가 이탈했으며, 평균 잔액 기준 조달금리도 같은 기간 0.7%p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미국 등 해외 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저원가성 예금 이탈을 어느 정도 겪고 있지만 한국처럼 규모가 크지 않고, 예금 확보를 위한 과도한 예금금리 인상 경쟁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

서 연구원은 "그 결과 미국, 대만 등 주요 대형은행의 조달금리 및 대출금리 상승 폭은 제한적이며, 이 과정에서 높은 순이자마진 상승의 수혜를 입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기준금리 인상이 장기화될 경우 여타 선진국 금융회사, 금융시장 역시 유동성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지만, 우리나라와 달리 현재 여건상 금리 인상이 유동성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이 가운데 금융당국이 최근 은행권에 과도한 예금금리 경쟁 자제를 요구한 것은 의미있는 변화라고 서 연구원은 평가했다. 다만 대환대출 플랫폼 출시 등 금융사 경쟁을 유도해 대출금리를 낮추려는 정책도 준비 중인 상황에서 이를 금융 안정을 위한 정책 기조의 전환으로 볼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는 평가다.

서 연구원은 "이미 저원가성 예금이탈이 역대 보지 못한 수준에 직면해 있고, 향후에도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음에도 정부는 채권시장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은행채 발행 자제를 요구한 상황"이라며 "여기에 정부 규제로 충분한 예금 확보가 어려워진다면 은행의 자금 중개 능력마저 크게 위협받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의 정책적 대응이 빨라지면서 금융안정을 위한 은행의 부담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유동성 지원과 같은 간접적 영향을 넘어 순이자마진, 건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직접적인 지원도 점차 늘어날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와 같은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은행업종에 대한 중립의견을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나유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