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 파업 첫날에만 8만5000t 출하길 막혀
해운업계 컨테이너 반출입량 급감…전월 대비 80%↓
조선업계, 파업 장기화시 후판 등 기자재 수급 차질
![]() |
▲27일 오전 경기도 의왕시 내륙컨테이너기지(ICD)에 화물차들이 주차돼 있다. |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의 총파업이 닷새째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화물연대와 정부 간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철강·해운·조선업계는 파업이 장기화될 시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은다. 예고된 파업에 사전 출하·사전 수급 등 대비책을 마련했지만, 이마저도 일주일을 넘기기는 힘들다는 설명이다.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로 이달 철강재 출하계획 중 47%의 물량만이 출하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화물연대 파업 첫날,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약 8만5000t의 철강 제품을 출하하지 못했다. 일부 제품은 해상·철도로 운송되고 있지만 이도 평시 대비 10% 미만 수준이다.
철강사들은 일주일 분량의 제품을 사전 출하한 데 이어 제철소 부지와 보관창고에 재고를 저장하고 있다. 다만, 재고를 저장할 수 있는 양도 2주에 불과해 이후에는 마땅한 대책이 없다는 설명이다. 국내 철강사들은 지난 6월 화물연대 파업 당시 철강 제품 72만1000t을 출하하지 못하고 1조1500억원의 피해를 입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매일 수 만t의 제품 운송길이 막히고 있는 상황"이라며 "파업이 장기화되면 막대한 피해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운업계는 수출입 컨테이너가 항만에 제때 도착하지 않아 업무 상 지장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항만운영사들은 배와 관련된 사물을 터미널에 반입하는 시기를 기존 ‘3일 전’에서 ‘7일 전’으로 늘리고, 부산 항만 당국도 장치장을 8곳에서 12곳으로 늘리며 대응에 나서고 있다.
해운업계는 조기 반입한 물량을 배에 싣고 있지만, 단순 시간 벌기에 그친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부산항과 인천항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급감했다. 지난 27일 부산항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2542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전달 5863TEU에 절반도 못 미치고, 전월 대비 80% 이상 감소했다. 인천항도 지난 27일 반출입량 775TEU을 기록하며 전월(1만3000TEU) 대비 5.9%에 그쳤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항만 신인도 저하 뿐만 아니라, 장치율(항만의 컨테이너 보관 능력 대비 보관된 컨테이너 비율) 상승 등 피해가 속출할 것"고 말했다.
조선업계는 당장은 큰 타격이 없지만 상황을 면밀히 살피고 있다. 파업이 장기화되면 후판 등 기자재 반입 차질에 선박 건조가 지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선업계는 파업 장기화를 대비해 기타 기자재 물량을 자체 차량으로 운송하는 등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입장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통상 조선사들은 2개월 분량의 후판 재고를 가지고 있다"면서도 "선박 건조 과정에서는 후판 외에도 보냉재·앵글·엔진 및 부품·페인트 등 수 만가지 기자재가 필요하기 때문에,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피해가 없을 순 없다"고 말했다.
lsj@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