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짧은 수명, 안전성 문제… 배터리 스왑핑 도입해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1.28 15:01

무협, '전기차 배터리 스왑핑의 우리나라 도입 검토와 시사점' 보고서

전기차 배터리 공장

▲중국에 위치한 전기차 배터리 공장.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전기차의 수명 연장과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도 ‘배터리 스왑핑(Swapping)’을 도입해 관련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8일 발표한 ‘전기차 배터리 스왑핑의 우리나라 도입 검토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배터리 스왑핑 산업은 정부의 정책지원과 투자자본 기술개발에 힘입어 이미 고도화 단계에 진입했으며, 지난해 기준 시장 규모는 45억위안(약 8400억원)으로 2025년에는 1000억위안(약 18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배터리 스왑핑은 배터리 교환소에서 충전된 배터리와 사용한 배터리를 교체하고 이를 다시 충전하는 일련의 시스템을 통칭한다.

보고서는 중국 내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는 2025년까지 매년 86%씩 증가해 192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상용차는 2025년까지 연평균 98%씩 성장해 16만대까지 늘면서 전체 신재생 상용차의 3분의 1을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지난해 1406개소에 불과한 배터리 교환소를 2025년 3만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또한 배터리 교체식 차량에 대한 보조금 지원 및 안전표준 제정, 배터리 팩 기술 표준 제정에도 나섰다.

배터리 스왑핑 산업의 수익성은 승용차보다 상용차에서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승용차의 손익분기점은 교환소 이용률 20%, 일일 60회 교체인 반면, 상용차는 교환소 이용률 10%, 일일 24회 교체로 승용차의 절반 이하 수준이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배터리 스왑핑은 효율적인 국토 활용 및 전력망 관리, 배터리의 안정성 제고, 수명 연장, 폭발 위험 관리, 재사용·재활용 촉진 등의 장점이 있다"며 "우리나라도 배터리 스왑핑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배터리 규격 및 결합방식 표준화 작업을 위해 기업 간 전략적 의사결정과 대규모 자본투자가 필요해 대기업 중심의 비즈니스가 될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김희영 무역협회 연구위원은 "교환소에서 배터리 교체뿐만 아니라 자동차 점검·수리, 관련 부품 판매 등 서비스업과도 연계하여 대·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며 "표준화·효율화가 용이한 택시·버스 등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해 미비점을 보완해 나간다면 신속한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승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