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 로드맵… 우주항공 산업계 '날개' 달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1.29 14:50

산업계 "민간 주도 우주 개발 사업에 탄력 받을 것"
우주항공청, 국내 우주 산업생태계 구축 역할 맡을 듯
2040년 우주 산업 1400조 전망… 우주서비스 분야 진출

윤석열 대통령, 미래 우주 경제 로드맵 발표<YONHAP NO-4492>

▲28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JW메리어트 호텔 서울에서 열린 미래 우주 경제 로드맵 선포식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정부가 지난 28일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발표하며 민간 주도 우주개발사업인 ‘뉴 스페이스’의 시작을 알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도 내년 우주항공청 신설을 목표로 ‘우주항공청설립추진단’을 출범시켰다.

29일 우주항공산업계에 따르면 전날 우주항공청이 모습을 드러내자 이를 반기며 민간 주도 우주 개발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동안 산학연을 포함한 우주산업 관련 종사자들은 우주항공청의 설립이 시급하다고 주장해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국항공우주산업(KAI)·LIG넥스원 등 산업계 관계자들은 지난 8일 한국항공우주학회 주관 우주포럼에서 우주 산업 관련 국내 내수 시장 활성화와 법령 마련이 시급하다고 제언하기도 했다.

당시 이준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상무는 "국내에 우주산업 생태계가 구축되는 것이 가장 큰 바람"이라며 "우주 외교를 대표로 국제 제약 사항을 제거할 수 있도록 대표성을 가지고 활발히 활동해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한창헌 KAI 부문장도 "우주항공청이 우리 우주 산업계가 발전하고 기초 체력을 갖출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고 지원하는 것이 첫 번째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산업계는 우주항공청의 범부처적 역할에도 주목하고 있다. 우주산업은 현재 산업부·과기부·국방부 등 다수의 관계기관이 얽힌 광의적 산업이라 다양한 프로젝트를 한데 모아 국내 우주 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이 같은 주장에 추진단에는 우주항공 업무와 함께 조직·법령·재정 등 7개 관계부처 관계기관이 참여한다.

우주산업 관계자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술과 인프라의 격차가 십 수년 이상이다"라며 "선진국을 따라 잡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수요를 창출해줘야, 기업들이 경쟁력과 자생력을 갖추며 글로벌 시장에서 활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산업계는 2040년 1조1000억달러(약 14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우주 산업에 뛰어들고 있다. 그 중 한화와 KAI, LIG넥스원 등은 우주서비스 분야에서 외국 기업과 손잡고 사업확장을 노리고 있다.

한화는 글로벌 우주인터넷 기업 원웹과 호주 군 위성인터넷 사업에 참여하고, 영국 위성통신 안테나 전문기업 페이저 솔루션을 인수해 한화 페이저를 설립, 차세대 위성통신 안테나 설계 개발에 뛰어들었다.

KAI는 항공영상분석 전문업체 메이사와 합작법인 메이사 플래닛(Meissa Planet)을 출범하고 위성 데이터분석을 통한 도시계획 수립과 유동인구 예측, 작황 및 유가 예측, 도로 건설, 기상 예측 등 서비스를 구상 중이다.

LIG넥스원은 핀란드 위성기업 아이스아이(ICEYE)와 합성개구레이더 영상처리 분야 공략에 돌입했다. 이를 통해 재난 감시, 피해 분석, 징후 파악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다수 위성에 대한 운용, 영상처리 활용분야로 확대할 계획이다.

우주산업 관계자는 "우주항공청이 산학연의 의견을 모아 향후 우주 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면, 우리나라 우주 산업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lsj@ekn.kr

이승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