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해안 송전망 부족한 상황에서 신한울 1호기 1.4GW 신규 진입, 급전순위 밀리는 동해안 신규 민간석탄화력발전소들 비상
- 발전업계 "원전 우선 가동해야 한다면 송전망 부족으로 가동 못하는 다른 발전기들에 대한 보상 방안 마련해야"
![]() |
▲특고압송전선로 |
신규 민간 석탄발전사들은 가뜩이나 최근 발전소를 새로 지어놓고도 송전망 부족으로 발전기를 제대로 돌리지 못하고 있는데 신규 원전까지 부족한 송전망을 함께 이용하면 발전기 가동을 더 줄일 수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손실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걱정하는 분위기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동해안 발전소의 생산 전력을 최대 소비처인 수도권으로 보낼 송전망이 제대로 확충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존 송전망을 함께 사용하는 신규 석탄화력·원자력 등의 발전소들이 최근 속속 들어서고 있다. 송전망 설비가 늘어나는 생산 전력을 수용하지 못하면 결국 발전소 가동을 멈추거나 줄일 수 밖에 없고 이렇게 되면 발전소의 손실로 이어진다.
이들 발전업계에 따르면 현재 동해안 민간석탄발전소 간에는 매월 발전가격 순위로 전국 1위를 하지 못하면 발전소를 정지해야 하는 송전제약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2022년 12월 전력시장적용 발전가격 순위에서 강릉안인 발전소는 석탄발전 순위에서 전국 1위를 하고 동해전력은 2위를 해 동해전력은 1호기 발전정지를 하고 있다. 전월인 11월에는 그 반대 상황이었다.
신한울 1호기의 상업운전에 이어 내년 신한울 2호기까지 준공을 앞두고 있다. 여기에 삼척석탄화력 등 다른 신규 석탄화력발전소들도 2025년까지 줄줄이 준공할 예정이다. 하지만 정작 이들 발전소가 생산할 전기를 운반할 송전망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올해까지 완공됐어야 할 송전망 공사가 여전히 민원에 막혀 진행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석탄화력발전은 급전순위에서 원자력발전에 밀려 송전망이 부족할 경우 직격탄을 맞게 된다. 급전순위는 발전 단가가 싼 발전기를 먼저 돌리도록 하는 발전 순서에 따라 순위를 정하는 것이다. 발전단가에서 원전이 석탄화력발전보다 싼 만큼 원전을 먼저 모두 돌린 다음 석탄화력발전기를 가동하는 방식이다. 송전망이 부족한 상황에선 석탄화력발전의 피해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발전업계에서는 이대로라면 발전소를 지어놓고도 100%는 고사하고 50%도 가동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이미 지금도 신규 석탄화력발전과 인근 신한울 1호기 원전 운전이 동시에 몰리면서 송전망 부족으로 감발 운전을 하고 있다.
삼척에 위치한 GS동해전력은 운영 중인 발전소 2기 중 1호기는 지난 2일부터 19일까지 가동을 중단하고 있다. 나머지 1기도 70% 감발 운전을 하고 있다.
석탄발전업계 관계자는 "계획예방정비 외에 이렇게 중단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며 "이번 중단은 송전 부족에 따른 제약정지인데 겨울철에 갑자기 장기간 세워놓게 되면 발전소 운영 차질은 물론 설비 동파와 저탄장의 탄이 오래 쌓여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결국 송전망이 확충돼야 하지만 지금 당장 공사를 시작하더라도 최소 2년 이상 걸리는 만큼 동해안 신규석탄화력발전소들은 상당기간 경영악화를 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2024년 진입을 앞둔 포스코 삼척화력은 향후 신한울 2호기, 강릉에코파워 2호기까지 들어오면 완공하고도 가동을 못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한 발전업계 관계자는 "올해 발생한 동해안 송전제약량 2.3기가와트(GW)를 석탄발전사 3곳이 분담하고 있다. 석탄발전량 5.3GW 대비 43%가 송전을 못하고 있고 내년 상반기부터 신규 전원 진입과 시운전 가동으로 공급능력 6.3GW 대비 75%에 해당하는 4.7GW가 제약을 받게 된다"며 "2024년에는 제약 발전량이 5.7GW까지 증가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무작정 석탄화력발전 가동을 중단시킨다면 그 결과는 전력수급 불안정과 함께 효율이 낮은 LNG 발전기 가동으로 SMP가 높아져 한전의 수조원 손실로 이어질 것"이라며 "원전과 마찬가지로 신규 석탄화력발전도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시장에 진입했다. 송전망이 부족한 상황에서 원전을 우선 가동해야 한다면 그 때문에 가동을 못하는 다른 발전기들에 대한 보상 방안은 마련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