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ESG 평가, 지속가능공시 등 제도적 개선 선행돼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2.07 16:43
보험연구원

▲(자료=보험연구원)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국내 보험사의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 개선을 위해서는 지속가능공시 등 기업의 ESG 경영 관련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보험연구원 이승준 연구위원(ESG연구센터장)과 이연지 연구원은 7일 ‘보험사 ESG 평가 현황과 과제-해외사례를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글로벌 ESG 평가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했고, 관련 기업들 간에 인수합병(M&A)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현재 약 150여개의 회사가 ESG 평가시장에서 활동 중이다. ESG 평가의 주요 수요는 금융투자자, 투자은행이며, 지역적으로는 유럽연합(EU)의 ESG 관련 공시 등 지속가능규제가 강화되는 유럽이 60% 이상을 차지한다. 북미는 3분의 1을 차지하며, 아시아 지역의 수요는 미미한 편이다. 전 세계 ESG 투자 규모는 2012년 13조3000억 달러에서 2016년 22조8000억 달러, 2018년 30조7000억 달러, 2020년 35조3000억 달러로 증가세다. 다만 ESG 평가사마다 평가 지표, 방법이 차이가 있고 평가대상 기업의 ESG 성과 평가가 달라지는 점은 기업들의 ESG 경영 의지를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나온다. 동일한 ESG 경영에 대해 평가사마다 다른 평가가 나오면 평가 받는 기업 입장에서는 ESG 경영 유인이 낮아지면서 ESG 성과를 높이려는 의욕도 꺾일 수 있다는 진단이다. 이는 투자자가 ESG 경영 성과를 투자의사 결정에 반영하는데도 걸림돌이다.

보고서는 "ESG 평가는 기본적으로 유사한 ESG 리스크에 노출된 동종 기업들 사이에서 어느 기업이 리스크 노출을 잘 관리하면서 사업기회를 살리는지 평가하는 것"이라며 "기업의 투명한 ESG 공시가 이를 위한 근간"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의 상장사를 대상으로 환경 및 사회 관련 기업의 책임활동을 포함하는 지속가능 공시가 의무화되고, 2030년부터는 모든 상장사로 확대된다.

보고서는 "지속가능 관련 양질의 기업정보 확대는 우리나라에서도 이제 막 형성되기 시작한 ESG 평가, 데이터 관련 시장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반"이라며 "지속가능 공시제도의 빠르고 효과적인 정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보험, 은행 등 다른 금융권역은 사업모형, 리스크가 다르기 때문에 ESG 평가 관련 세부지표, 가중치도 차별화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이승준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ESG 평가 지표, 가중치는 모든 금융권역에 대해 구분없이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보험, 은행 그리고 금융투자의 사업모형이 다르고 이에 따른 리스크, 기회도 차이가 나므로 ESG 평가를 위한 지표 및 가중치에 이와 같은 차이가 반영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나유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