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해 풍황 맞춤형 모델…이용률 30% 이상 달성
![]() |
▲두산에너빌리티가 지난 1월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국가풍력실증센터에 설치한 8MW 해상풍력발전기 전경. 사진=두산에너빌리티 |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 2018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지원으로 ‘8MW급 대용량 해상풍력발전시스템 개발’을 추진해왔다. 올해 1월에는 전남 영광에 시제품을 설치하고 실증운전을 거쳐 국제 인증을 취득했다.
국내 설치 기준 최대 용량인 ‘DS205-8MW’는 풍속이 느린 우리나라 서남해의 환경에 맞춤형으로 설계됐다. 평균 풍속 6.5m/s에서도 이용률 30% 이상이 가능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 끝이 그리는 지름을 205m(블레이드 길이 100m)까지 늘렸다.
블레이드의 길이가 길어지면 바람을 받을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해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블레이드의 길이가 2배로 길어지면 바람을 받는 면적은 4배로 증가하는 식이다.
블레이드는 두산에너빌리티와 한국재료연구원, 휴먼컴퍼지트가 협력해 개발했다. 국제공인 시험기관인 부안 풍력시험동에서 극한 상황의 하중 시험을 통과해 구조 건전성과 안전성도 확보했다.
박홍욱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 BG장은 "전세계 풍력 기업들이 경쟁하는 우리나라 해상풍력시장에서 국내 산학연이 함께 개발한 8MW 해상풍력 터빈으로 시장 확대에 나설 것"이라며 "현재 70% 이상인 터빈 부품 국산화율을 더욱 높이고 해외에 의존하던 터빈 유지보수 서비스를 국내 기술과 인력으로 대체해 국내 해상풍력 생태계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lsj@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