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규홍 보건복지부장관 중대본 회의서 "조정기준 설명"
방대본 "재유행 모니터링, 환자·사망자 추이 고려 결정"
![]() |
▲13일 오후 서울 마포구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의무 조정 기준이 확정되면 정부는 겨울철 독감 위험기간을 넘긴 내년 1월 중 조정 기준에 의거해 일반인과 고위험군, 치료시설 등을 대상으로 단계별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할 것으로 보인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1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번 달 23일에는 실내 마스크 착용에 대한 의무 조정 기준을 소상히 설명해 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15일 공개토론회에 이어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등 남은 방역조치 조정에 필요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23일 조정 기준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임숙영 상황총괄단장도 같은날 일일브리핑에서 "(정부가) 실내마스크 의무 조정을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검토를 해왔다"면서 "겨울철에 재유행이 오면서 유행의 정점이 지난 이후에 방역상황과 전문가 논의를 거쳐 결정을 하겠다는 방침을 갖게 됐다"고 밝혔다.
임단장은 "(코로나19) 유행 상황을 지속해 모니터링하고 있는데 환자 숫자라든가, 위중증과 사망의 추이라든지, (정부가) 전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방역대응 역량 등을 좀 고려해 마스크 의무 조정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덧붙여 설명했다.
한편, 방대본은 이날 브리핑에서 본격적인 기온 하락과 연말연시 실내활동이 늘어나면서 잠시 둔화했던 코로나19 확진자 규모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대본에 따르면, 12월 첫째 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일평균 5만8958명으로 전주보다 11.2% 증가했다.
감염재생산지수(Rt)는 1.04로, 8주 연속 1 이상을 유지했다. 감염재생산지수는 환자 1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수치화한 지표로, 1 이상이면 ‘유행 확산’을 의미한다.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는 444명으로, 전주 대비 4.9% 줄었다. 반면, 사망자 수는 51명으로 6.2% 늘었다.
재감염 추정 사례 비율은 14.7%로, 전주(13.29%) 대비 1.41%포인트(p) 증가했다. 신규 확진자 7명 중 1명은 2회 이상 감염자인 셈이다. 전체 누적 감염자 중 2회 이상 감염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3.1%다.
임숙영 단장은 "백신과 감염으로 갖췄던 면역이 시간이 지나며 감소하는 것도 확진자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현재 유행은 증감을 반복하면서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방대본은 오미크론 변이 기반 모더나 2가 백신 64만회분이 14일 도입된다고 말하고, 2가 백신 추가접종이 코로나19로부터 본인과 가족, 지역사회를 지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