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의료기기, AI·로봇·빅데이터로 '초격차' 선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2.18 14:41

복지부 2027년까지 5년간 육성·지원 종합계획 공청회



"국내시장 9조원대 글로벌 1.8% 수준, 국산사용률 19%"



수출효자산업 R&D 선택과집중 '패스트무버' 전환 제시

20221216_141954

▲김정연 보건복지부 의료기기화장품 태스크포스(TF) 팀장이 지난 16일 서울 중구 연세봉래빌딩에서 열린 ‘제1차 의료기기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 공청회에서 계확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한국보건산업진흥원 유튜브 채널 화면 캡처


[에너지경제신문 김철훈 기자] 정부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할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산업의 중장기 육성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함께 지난 16일 서울 중구 연세봉래빌딩에서 ‘제1차 의료기기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 마련을 위한 대국민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번 제1차 종합계획은 국내 의료기기산업의 해외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난 2020년 의료기기산업법 시행 이후 처음 마련되는 의료기기 분야의 첫 중장기 종합 정책계획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공청회에서 제1차 종합계획안의 주요 내용을 발표한 김정연 보건복지부 의료기기화장품 태스크포스(TF)팀장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진단기기 분야의 괄목할 성장으로 의료기기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지난해 기준 국내 의료기기 시장규모(9조1341억원)는 세계시장(약 600조원)의 1.8%에 불과하고 국내 상급병원의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은 18.9%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국내 의료기기산업은 전체 생산의 77%를 수출하는 수출효자산업인 만큼 선택과 집중의 육성전략으로 의료기기 산업의 패러다임을 ‘추격’에서 ‘선도’로 전환하겠다"고 강조했다.

복지부는 향후 5년간 △수출분야 △유망분야 △공적분야 등 3대 분야에 대해 집중적으로 R&D 투자를 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코로나 기간 큰 성공을 거둔 체외진단 분야와 치과 분야 의료기기에 대규모 투자를 해 초격차 기술을 확보하고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생체친화형 인공장기와 의료소재, 의료로봇 분야에 집중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글로벌 혁신의료기술 임상실증센터’를 구축해 국내외 임상연구를 지원하고 상급병원에 ‘국산 의료기기 트레이닝 센터’를 설립해 국내 의료진의 국산 제품 사용 경험을 확대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날 공청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2020년 초 코로나19 진단기기 허가 때 보여준 정부의 신속한 허가를 다른 의료기기에도 확산시키고 현장실습 등 실무경험을 갖춘 인력을 더 많이 육성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복지부는 향후 관계부처 협의와 의료기기산업 육성지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르면 내년 초 최종안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은 지난 14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 수립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고 지난달 30일에는 ‘제3차 보건의료기술 육성 기본계획(2023~2027)’ 공청회를 개최했다.

제약·바이오산업 기본계획과 보건의료기술 기본계획 모두 5년 단위로 수립되는 정부의 최상위 중장기 로드맵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보건의료·제약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의 중장기 전략 수립이 일제히 완성 단계에 이르고 있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사태 이후 감염병에 어떻게 대응하냐에 따라 국력의 순위가 바뀌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전 세계 공통적 현상인 고령화 추세에 맞는 중장기 전략으로 우리나라 국력에 걸맞는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산업을 갖춰야 할 때"라고 말했다.

kch0054@ekn.kr
김철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