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재무제표로 본 ‘한국기업 건강도’ 분석
"위기 기회삼아 새로운 활로 찾는 기업가정신 보여야 할 때"
![]() |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한국평가데이터(KoDATA)와 함께 1612개 상장사(대기업 160개, 중견기업 778개, 중소기업 674개)의 올해 3분기까지 재무상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활동성 등 4개 부문별로 구분해 살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들의 기업매출, 총자산 등 성장성은 개선됐지만 매출액 증가속도가 둔화되고 영업이익이 줄어드는 등 내용이 악화됐다. 수익성, 안정성, 활동성은 일제히 나빠졌다.
대상 기업의 올해 3분기까지 누적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0% 많아졌다. 코로나19 안정세에 접어든 지난해(14.0%)에 이어 매출성장세가 유지된 것이다.
성장속도는 다소 둔화됐다. 작년 2분기에서 3분기를 거치며 매출액증가율이 0.5%p 상승했으나, 올해는 2.3%p 감소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이 17.8%, 중견기업이 23.4%, 중소기업이 10.2% 뛰었지만, 지난분기 대비 대기업 2.8%p, 중견기업 0.6%p, 중소기업 2.0%p가 각각 빠졌다.
총자산은 전분기 대비 2.8%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총부채도 4.4% 늘어나 ‘빚으로 쌓아올린 자산’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분석대상기업의 합산 총자산은 39조원이 증가한 반면, 총부채는 40조원 급증해 부채증가액이 자산증가액을 앞질렀다.
대기업은 총자산이 2.6% 오른 동안 부채는 4.1% 늘었다. 중견기업은 총자산 4.0%, 총부채 5.9%가 각각 올랐다. 중소기업은 총자산이 1.2%, 총부채가 1.1% 늘었다.
지난해 3분기까지 53.5%를 기록한 영업이익증감율은 올해 ?7.2%로 내려앉았다. 특히 대기업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3분기까지 대기업은 58.3% 성장세를 보였으나 올해는 12.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13.1%, 4.0% 증가했지만, 지난해의 성장률에 크게 못 미쳤다는 평가다.
기업이 많이 팔고 오히려 손해를 봄에 따라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매출액영업이익률(영업이익/매출액)도 함께 내리막길을 걸었다. 3분기 누적 매출액영업이익률은 6.1%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1.7%p 줄어든 수치다. 전분기와 비교해도 1.0%p 감소했다.
기업이 부담해야 할 이자비용은 전년대비 22.3% 많아졋다. 올해 상반기부터 시작된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대상 기업의 3분기 발생 이자비용은 총 3조5000억원으로 1분기(2조6000억원)와 2분기(3조원) 발생 이자비용을 감안하면 매분기 4000억~5000억원의 순이자부담이 늘어나는 추세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을 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은 10.6배에서 8.0배로 급락했다.
기업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도 일제히 하락했다. 외부 차입의 증가로 전체기업의 3분기 누적 부채비율(81.4%)과 차입금의존도(19.4%)가 모두 작년 같은 기간의 부채비율(74.2%)과 차입금의존도(18.9%)보다 증가했다.
문제는 나빠진 상황을 반전시킬 기업의 활력이 크게 떨어진 것이다. 보고서는 재고자산이 크게 늘어난 점을 근거로 삼았다. 3분기 말 기준 총자산에서 재고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6.1%, 2021년 6.6%에서 올해 8.0%로 급증했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지난해 3분기 말 대비 대기업은 5.5%에서 6.8%로, 중견기업은 9.7%에서 11.4%로, 중소기업은 7.9%에서 8.4%로 각각 증가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기업들이 어려운 경제환경 속에서도 수출과 내수판매에 많은 힘을 쏟았지만, 영업이익은 오히려 줄어든 형국"이라며 "국내 대기업의 가동률이 코로나 때보다 떨어졌고 기업들은 앞다퉈 내년 목표실적을 하향조정하는 등 상황이 좋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당분간 어려움이 지속되겠지만 이럴 때일수록 위기를 기회삼아 새로운 활로를 찾아내는 기업가정신이 나타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