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인플레 3%대…전월대비 0.4%p↓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2.27 09:10
기대인플레

▲자료=한국은행.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소비자 물가 전망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이 3%대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1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8%로 전월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 7월 4.7%로 역대 최고치를 찍은 이후 4%대를 유지하다 이달 들어 3%대로 하락했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이 3%대로 떨어진 것은 6월(3.9%) 이후 처음이다. 수치는 지난 5월(3.3%) 이후 가장 낮다.

한은 관계자는 "생활 물가와 관계된 농축산물, 석유류 가격이 안정됐고 소비자물가지수(CPI), 환율이 하락하면서 기대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데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12월 금리수준전망지수는 133으로 전월 대비 18포인트 하락했다. ‘현재와 비교해 6개월 후 금리’가 지금보다 오를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하락을 예상한 사람보다 많으면 이 지수는 100을 웃돈다.

한은 관계자는 "물가 상승세가 둔화하면서 시장금리도 오를 만큼 올랐다는 인식이 늘어남에 따라 금리수준전망지수가 크게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며 "지수 자체는 워낙 높았기 때문에 여전히 100을 웃돌고 있다"고 했다.

12월 주택가격전망지수(62)는 전월 대비 1포인트 상승했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지난 7∼11월 다섯 달 연속 역대 최저 기록을 세웠다. 한은 관계자는 "주택가격전망지수가 반등하기는 했지만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며 "워낙 낮은 수준이기도 하고, 거래량·매매수급지수 등을 보더라도 하락 폭이 확대되는 국면이라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12월 전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9.9로, 전월 대비 3.4포인트 상승했다. CCSI는 9월 91.4, 10월 88.8, 11월 86.5로 2개월 연속 하락하다가 3개월 만에 반등했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중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주요 개별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1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11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현재생활형편(83)만 전월과 같았다. 생활형편전망(85)은 3포인트, 가계수입전망(95)은 2포인트, 소비지출전망(108)은 1포인트 올랐다. 현재경기판단(51)은 5포인트, 향후경기전망(62)는 8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2∼19일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2380가구가 응답했다.


dsk@ekn.kr

송두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