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12월 국회서 2023년 수소도시 조성사업 예산 52억5000만원 확정
주거·교통 등 생활 활용 가능한 수소 인프라 구축…6곳에 4년간 400억원 투입
![]() |
▲평택 수소생산시설.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경기 평택·남양주, 충남 당진·보령, 전남 광양, 경북 포항 등 6개 도시가 ‘수소도시’로 조성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국회에서 2023년 수소도시 조성사업 예산 52억 5000만원이 확정됨에 따라 올해 6개 도시에서 수소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이에 따라 평택, 남양주, 당진, 보령, 광양, 포항 등 6개 도시를 대상으로 수소를 주거, 교통 등 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수소 인프라를 구축하는 ‘수소도시 조성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수소 에너지원을 공동주택, 건축물, 교통시설에 활용하도록 수소생산시설과 이송시설(파이프라인·튜브 트레일러), 활용시설을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수소도시 조성을 위해 지난 2019년부터 울산, 전주·완주, 안산 세 곳을 이미 시범도시로 선정해 수소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이번에 수소도시로 선정된 6곳에는 4년간 400억원(국비 200억원·지방비 200억원)이 투입된다. 내년에는 국비 52억 5000만원에 같은 규모의 지방비를 더해 105억원을 투입한다.
평택은 평택항 중심 탄소중립 수소복합지구를 추진해 대한민국 수소경제벨트의 중심을 만들고 남양주시는 3기 신도시에 수소도시 인프라 구축해 차별화된 수소경제중심 자족도시 조성한다.
당진은 석탄화력발전단지, 제철소 등 입주 기업과 연계해 사람살기 좋은 클린 수소도시를 만들고 보령은 보령LNG터미널과 연계한 세계 최대 블루수소 밸류체인 구축사업을 추진해 2030 글로벌 수소경제 선도도시를 구축한다.
광양·포항은 인근 제철소를 통한 수소공급여건이 우수한 지역으로 광양은 수소전용 항만터미널을 구축하는 등 수소경제 중심도시, 블루밸리산업단지내 수소연료전지산업을 위한 기반구축사업 예타 통과를 통해 친환경 수소경제 허브도시로 각각 조성한다.
길병우 국토교통부 도시정책관은 "그간 시범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내년부터는 수소도시 조성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계획"이라며 "수소도시 관련 기술들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 수소도시 조성을 통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뿐 만 아니라 탄소중립사회로의 이행도 보다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