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닉바잉 사라졌다”…지난해 생애 첫 집 역대 최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1.18 14:57

경제만랩, 법원 등기정보광장 조사 결과 발표
생애 첫 집 매수자 수 8만7천928명 집계
금리인상 기조 및 집값 하락 등 영향 받아

경제만랩

▲지난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수도권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자 수. 경제만랩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지난해 수도권(서울·경기·인천)지역 생애 처음 집합건물매수자가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18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법원 등기정보광장을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2022년 수도권 지역에 생애 처음으로 집합건물을 구매한 매수자는 16만634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0년 관련 통계가 공개되기 시작한 이래 가장 적은 수치이며 2021년(30만2261명)과 비교하면 46.9% 감소한 수치다.

집합건물이란 한 동의 건물에서 구조상 구분된 부분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구분 소유권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등을 말한다.

지난해 서울 지역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자는 3만8726명으로 나타났으며 경기 9만5671명, 인천 2만6237명 등으로 집계됐다.

30대 이하 수도권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자도 8만7928명으로, 역시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아파트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아 2030세대들의 ‘패닉바잉’(공황매수)현상이 일었던 2021년(17만6794명)과 비교하면 50.3%나 감소했다.

지난해 서울 지역 30대 이하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자는 2만1286명, 경기 5만1801명, 인천 1만4841명으로 집계됐다.

저금리가 지속되고 집값 상승세가 컸던 2021년과 달리 2022년엔 금리인상과 집값 하락 등의 영향으로 생애 첫 집합건물 매입이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생애 첫 주택 구매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대출 의존도가 높기에 금리인상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다 집값 하락세까지 겹쳐 생애 첫 집합건물 거래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자와 30대 이하 생애 첫 집 매수자는 각각 30만1510명, 16만4610명으로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kjh123@ekn.kr

김준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