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제철소, 침수 피해 135일 만 '완전 정상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1.19 17:07

포항제철, 20일부터 완전 정상 조업체제로 돌입



당분간 생산 안정화 및 효율성 향상에 역량 집중



향후 조사단 권고에 재난 대비 체계 보완 예정

포스코

▲지난 10일 최정우(뒷줄 가운데 노란색 안전조끼 착용) 포스코그룹 회장이 포항제철소 제선부를 방문해 직원들을 격려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포스코는 오는 20일부터 포항제철소 17개 모든 압연공장 복구를 완료하고 완전 정상 조업체제로 돌입한다.

19일 포스코에 따르면 포항제철소는 지난 9월 6일 태풍 힌남노에 따른 침수 피해 135일만에 완전 정상화된다. 침수 초기 제철소를 다시 지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일부의 우려도 있었지만, 임직원 등 연인원 약 140만 여명과 명장 등 전문 엔지니어의 노력으로 조기 복구를 완료한 것이다.

포항제철소를 살리기 위해 포항제철소 직원들은 물론, 광양제철소, 서울 포스코센터, 그룹사, 협력사 임직원들 모두 주말, 밤낮 없이 발벗고 나섰다.

명장들을 중심으로 물과 뻘에 잠긴 설비들을 하나 하나 정비 작업을 진행했고, 최대 170t에 달하는 압연기용 메인 모터들은 1년 내 수리가 어렵다고 예측됐으나 직원들이 직접 분해·세척·조립해 조업 정상화에 물꼬를 텄다.

민·관·군, 지자체, 고객사 등 각계 각층의 지원도 있었다. 소방청과 지자체에서 대용량 방사시스템, 소방펌프, 살수차 등을 지원했고, 해병대를 비롯한 군도 병력을 투입해 복구를 도왔다. 고객사들도 복구 장비는 물론, 간식과 물품 지원에 나섰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일본제철, 현대제철 등 경쟁사들은 긴급한 상황 속 선재 제품, 토페도카를 지원해주며 철강업계 간 협업도 보여줬다. 특히 세계철강협회 회장단으로 활동 중인 사쟌 진달 인도 JSW社 회장은 자사 열연공장용으로 제작 중이던 설비를 포스코에 선뜻 내주기도 했다.

포스코는 복구에 여념이 없는 와중에도 고객사·공급사·협력사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원책을 마련해왔다. 고객사들의 수급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광양제철소 전환생산, 해외 사업장 활용, 타 철강사 협업 공급 등 솔루션을 찾아 일대일 맞춤형 대응계획을 수립했다.

또 포스코는 ‘철강ESG상생펀드’ 및 ‘상생협력 특별펀드’를 재원으로 25개 수해 피해 기업들에게 437억원의 유동성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와 별도로 24개 협력사에 대해 202억원의 신규 설비 구매자금을 지원 중이다.

향후 포스코는 생산 안정화 및 효율성 향상에 역량을 집중하면서 재난 대비 체계를 보완할 예정이다. 포스코는 임직원 모두의 일치된 열정과 위기 극복 DNA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100년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단 한 건의 중대재해 없이 포항제철소 조기 정상화를 이뤄낸 임직원들 모두가 포스코의 자랑스러운 영웅"이라며 "포스코를 응원해주시고 지원해주신 정부, 지자체, 국민들 모두에 깊은 감사를 드리고, 국가경제 활성화에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파트너들과 함께 힘차게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lsj@ekn.kr

이승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