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지방 중소도시 전체 52% 차지…전년 동기간比 1.5배 증가
충북 청주, 경남 창원, 전북 군산 등 도심 지역 내 브랜드 단지 분양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계묘년 1분기 지방 중소도시에서 약 1만2000가구에 달하는 브랜드 아파트가 공급될 예정이다.2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지방 중소도시(수도권 및 지방 5대 광역시 제외)에서 시공능력평가 상위 10대 건설사 브랜드 아파트 1만1736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는 올 1분기 지방 중소도시 전체 공급 물량(2만 2520가구)의 52%를 차지하는 규모로 지난해 같은 기간 분양한 10대 건설사 브랜드 아파트 공급물량(4577가구)보다 1.5배 늘어난 수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충북 청주 4174가구 △경남 창원 3605가구 △강원 원주 1798가구 △전북 군산 1652가구 △경북 포항 1455가구 △경북 구미 1350가구 △ 경남 사천 1100가구 △강원 춘천 1039가구 △강원 속초 925가구 △충남 아산 787가구 △전남 목포 770가구 △전북 익산 745가구 등이다.
전년 대비 분양물량이 늘어난 것은 지난해 급작스레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분양이 미뤄진 단지들이 많은데다 최근 정부의 1.3 부동산 규제 완화 대책으로 부동산 시장에 온기가 돌고 분양시장 환경 또한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더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정부가 대대적인 규제 완화책을 내놓은 1월 첫째 주 이후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일제히 반등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월 2주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2.12로 전주(71.5)대비 0.62%p 상승했다. △수도권 (66.11 → 66.66) △지방 (76.44 → 77.13) △서울 (64.08 → 64.84) △6대 광역시 (69.08 → 70.19) 등 지역을 가리지 않고 오름세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시장의 관심은 규제 해제에 따른 훈풍이지방 중소도시 분양시장까지 번질지 여부로 쏠리고 있다. 수도권의 온기가 지속되면 지방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도 높고, 지난해 시장 침체 속에서도 지방에서의 브랜드 아파트의 인지도는 여전히 높았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보면 지난해 지방 중소도시에서 분양한 아파트의 1순위 청약접수건수는 총 42만 4950건으로 이중 약 57%에 달하는 24만 2062건이 10대건설사 브랜드 아파트로 몰렸다.
업계관계자는 "1분기 지방 중소도시에서 분양에 나선 대형 건설사 단지들의 분양성적을 통해 지방 분양시장을 전반적으로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의 전면적인 부동산규제 해제를 통해 대출을 비롯한 청약 문턱이 크게 낮아진 만큼 실수요는 물론 선점을 위한 투자수요까지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올 1분기 지방 중소도시에서 선보이는 10대 건설사 브랜드 아파트를 살펴보면 GS건설은 이달 충북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 일대에서 ‘복대자이 더 스카이’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49층 3개동 전용면적 84~103㎡ 총 715가구 규모로 구성된다.
DL이앤씨는 내달 강원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일원에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을 분양할 예정이다.단지는 지하 2층~지상 25층, 6개 동, 572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전용면적 별로는 △59㎡ 137가구 △74㎡ 213가구 △84㎡ 172가구 △102㎡ 50가구 등이다. 포스코건설은 내달 경남 김해시 신문동 일대에 들어서는 ‘김해 신문1지구 공동주택(가칭)’을 분양할 예정이다.지하 3층~지상 29층, 10개 동,총 1146가구 규모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