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 작년 4분기 외식경기동향지수 발표
식자재값 상승…외식업주·소비자 부담↑
올 1분기 외식업 경기전망지수도 '침울'
[에너지경제신문 조하니 기자] 외식업 경기 회복세가 5분기만에 꺾였다. 고물가·고금리,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외식업에 악영향을 준 것이다.2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2022년 4분기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지수는 82.54로 전 분기보다 7.30포인트(p) 줄었다. 지난 2021년 3분기 이후 4개 분기 연속 이어지던 회복세가 5개 분기 만에 꺾인 것이다.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최근 3개월간 외식업계의 매출·경기 체감 현황을 조사해 지수화한 것이다. 수치가 100을 넘으면 경기호전을 전망하는 업체가 더 많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4~28일 외식업체 3000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앞서 2021년 3분기 65.72를 기록한 지수는 4분기 70.34, 지난해 1분기 70.84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그 해 2분기에는 85.56으로 크게 뛰었으며, 3분기(89.84)에도 소폭 올랐다.
그러나, 지난해 4분기로 접어들며 하락세로 전환했다. 하락 폭은 코로나 발생 초기인 2020년 1분기(-11.68p) 이후 11분기 만에 가장 컸다.
aT는 "전 세계에서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며 "소비 심리가 위축된 것이 하락의 주요 원인이다"고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치킨 전문점업이 75.63으로 가장 낮았고, 중국 음식점업(76.08), 김밥·기타 간이 음식점업(79.19), 피자·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업(81.80), 한식 음식점업(82.10) 등은 평균치를 밑돌았다.
올해 1분기의 외식업 경기 흐름을 예상하는 경기전망지수도 85.76으로 전분기보다 9.22p 급락했다. 지난해 4분기부터 2개 분기 연속 내려간 상황이다. 식자재 원가 수준은 전 분기 보다 소폭 줄었지만 오름세여서 외식업체의 부담이 크다.
식재료 원가지수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식자재 원가 수준을 나타내는 수치로 100을 넘으면 원가가 상승한 것을 의미한다. 분기별로 보면 2021년 1분기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7개 분기 연속 상승했다. 매 분기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지난해 4분기 145.01로 전 분기 보다 0.88p 줄었다.
식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주요 외식 제품 가격도 올라 소비자 한숨이 깊어질 전망이다. 한국소비자원 가격 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기준 냉면 가격은 평균 1만577원으로 전년 동기 보다 8.7% 올랐으며, 자장면(6569원)과 13.8% 김밥(3100원)도 11.9 각각 가격이 뛰었다.
지난해 4분기 외식업 고용지수는 95.85로 전 분기보다 0.39p 감소했다. 2021년 3분기 이후 5개 분기 만에 하락한 것이다. 경기 침체에 따른 매출 감소와 고물가 지속 때문이라고 aT는 풀이했다.
rhinahoh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