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대에 오른 최정우 리더십…'진퇴양난' 극복 카드 있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2.20 15:54

포스코홀딩스, 주주와 포항시민 의견 반영할 묘책 마련 안간힘

최정우3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의 사퇴론에 불씨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홀딩스가 약속한 본사 포항 이전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 재계는 포스코홀딩스의 약속대로 해당 안건이 이사회에서 의결된다고 해도 주주총회란 큰 벽이 남아 있어 이를 넘기엔 쉽지 않을 것으로 점치고 있다.

일각에선 자칫 포항시 및 범대위(포스코지주사 포항이전 범시민대책위원회)의 ‘최정우 회장 사퇴 압박’ 목소리도 나올 수 있다며 최 회장이 주주와 포항시를 아우를 수 있는 카드를 고심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포스코홀딩스는 20일 이사회를 열어 2023년도 정기주주총회 상정 안건 재심의에 들어갔다. 주요 내용으로는 포스코홀딩스의 포항 이전 추진 등이다.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3월 포스코홀딩스 설립과 동시에 포항시와 1년 안에 본사 이전을 끝내겠다는 내용이 담긴 지역발전을 위한 상생 협력을 약속한 바 있다.

합의서 주요 사항은 △포스코 지주회사의 소재지는 이사회 및 주주설득과 의견수렴을 통해 올 3월까지 포항 이전 추진 △미래기술연구원은 포항에 본원을 설치하는 등 포항 중심의 운영체계 구축 △포항시와의 지역상생협력 및 투자사업은 포항시와 포스코, 포스코홀딩스가 TF를 구성해 상호 협의 추진 등이다.

문제는 주소지 이전 등의 안건이 확정된다고 해도 주주들을 설득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포스코홀딩스 역시 지역사회의 의견을 적극 수용해 소재지 이전 합의를 충실하게 이행하겠다는 입장이나, 주주들의 목소리도 무시할 수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주식회사의 의사결정이 주주들의 몫인 만큼, 주주들의 목소리를 기반으로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판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계 및 경제석학 등은 지주사 포항 이전에 대해 주주들의 반대 입김이 상당할 것으로 보고 있다. 포스코홀딩스가 서울에 있다고 해서 기업 가치가 훼손되는 등의 큰 영향도 없거니와, 지주사의 그룹 경영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라도 서울에 위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이유에서다. 주주들 역시 지역 정서나 정치 지형 등을 고려하기 보단 기업 가치 제고를 우선시 둘 것으로 보인다. 현재 포스코홀딩스의 주요 주주 지분 비중을 보면 국민연금이 8.9%, 블랙독 등 해외투자자들이 51.8%, 나머지 개인들이 소유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앞서 포스코가 지주사 전환 과정에서 주주가치의 훼손이 발생할 경우, 반대 의결권 행사를 비롯한 적극적 주주활동에 나설 것을 시사한 바 있다.

이에 일부 정치인사와 포항시, 범대위 등이 최 회장 사퇴 압박에 힘을 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재계는 최 회장이 포항시와 주주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묘책 마련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유기섭 한양대 경영학과 겸임교수는 "최 회장이 정치적인 압박과 지역 상생 등 경영적 성과를 전부 잡기 위해선 지주사가 포항으로 이전하기 보단, 지주사는 서울에서 그룹의 모든 사업을 아우르고, 현재 포스코가 진행하는 새로운 사업 관련 공장 등을 포항에 짓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고 제언했다.

재계 관계자 역시 "지주사의 포항 이전 약속은 성급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정치적 입김이 작용했겠지만, 사실상 (1년이라는) 단기간에 지주사 이전을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며 "주총 결과가 어떻게 나올 지 모르겠지만, 최 회장이 주주가치와 지역 민심을 모두 챙길 방안을 마련해 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아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