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기업 10곳 중 7곳 "자발적 탄소시장, 탄소감축에 기여할 것"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3.07 12:00

대한상의 조사···"응답기업 40% 감축실적 인증 희망"

catsasdfasdfasdf

▲대한상의 설문조사 결과 이미지.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자발적 탄소시장’이 탄소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자발적 탄소시장’이 탄소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국내기업의 자발적 탄소시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66.8%가 자발적 탄소시장이 탄소감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7일 밝혔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기업이 기대하는 자발적 탄소시장의 역할은 ‘감축 활동에 대한 정당한 평가’(46.3%)가 가장 많았다. 현재 운영 중인 배출권거래제 시장인 ‘규제 시장의 보완적 수단’(40.6%), ‘기후테크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 창출’(7.0%), ‘친환경 투자 유도’(6.1%) 순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최근 기업의 탄소감축 책임 범위가 사업장 내 직접배출(Scope 1)에서 간접배출(Scope 2), 기타간접배출(Scope 3)까지 확대되면서 사회 전 분야에서 다양한 감축활동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기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대상 기업은 규제 범위(Scope 1·2) 외 추가적인 감축활동에, 중소기업 같은 비대상 기업은 모든 감축활동에 대한 신뢰성 있는 인증을 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응답기업의 40%는 자발적 탄소시장을 통해 탄소 감축제품·기술·서비스 개발 및 판매 까지도 감축실적으로 인정받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제도에서는 국내 반도체 제조업체가 초저전력반도체를 개발·판매해 전력소비와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줄이더라도 감축실적으로 인증받기 어렵다. 오히려 초저전력반도체 제조에 따른 추가 공정으로 온실가스 부담은 더 증가하는 상황이다.

박호정 고려대학교 교수는 "기업들이 탄소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드론, 사물인터넷(IoT), 통합발전소(VPP)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탄소감축에 기여하고 있다"며 "경직된 규제시장에 대한 보완적 수단으로 자발적 시장을 통해 다양한 감축활동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면 사회 전반에 탄소감축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기업들이 감축실적을 인증받길 원하는 이유로는 ‘탄소중립 달성’(45.0%)과 ‘ESG 활동 홍보’(43.6%)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상쇄배출권 확보’(26.2%), ‘국제 이니셔티브 참여 및 대응’(17.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 지원과제로는 ‘배출권거래제 연계’(35.8%)가 가장 많았다. 이어 ‘국가 감축목표(NDC)와의 연계’(28.4%), ‘자발적 탄소시장 운영지침 마련 등 신뢰성 확보’(21.8%) 등으로 조사됐다.


yes@ekn.kr

여헌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