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가 찜한 미래유망산업 1위는?… "AI·로봇"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3.20 09:09

대한상의, 미래 유망산업에 대한 MZ세대 인식 조사

ASDFASDFASD3333

▲세대별 미래유망산업.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MZ세대(1985~2010년생)는 인공지능(AI)과 로봇이 5~10년 후 국내 산업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민 101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MZ세대는 미래유망산업으로 ‘AI·로봇’(30%), ‘반도체’(19.2%), ‘이차전지’(11.1%), ‘콘텐츠산업’(7.3%), ‘제약·바이오’(6.4%)를 차례로 꼽았다.

X세대(1975~1984년생)와 베이비부머세대(1974년 이후 출생) 역시 미래 유망산업으로 △AI·로봇 △반도체 △이차전지산업을 들었다. 4위와 5위 업종은 MZ세대와 달리 X세대는 △항공·우주와 △콘텐츠산업을, 베이비부머세대는 △그린산업(수소·태양광 등)과 △항공·우주를 선정했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전세대에서 공통적으로 꼽은 3대 미래유망산업은 산업 전반에 걸쳐 융복합 영역 및 적용범위가 방대해 미래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집약 업종"이라며 "최근의 챗(Chat) GPT 열풍과 전기차의 확산, 저출산 심화에 따른 대체인력 필요성 등 일상생활과 접목된 사회변화상도 국민들의 유망산업 선정에 큰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AI 기반 대화형서비스인 ChatGPT를 한 번 이상 사용해 본 국민은 3명 중 1명가량(35.8%)인 것으로 조사됐다. ‘ChatGPT 사용 경험’을 묻는 질문에 ‘호기심에 한두번 사용해 봤다’는 답변이 30.2%, ‘실효성과 재미를 느껴 자주 사용중’이라는 답변이 5.6%로 집계됐다. ‘한 번도 사용해 본적 없다’는 응답이 64.2%로 가장 많았다.

‘ChatGPT 결과 내용을 신뢰하는지’에 대해서는 ‘보통’(62.1%) 혹은 ‘그렇다’(26.5%) 답변이 많았다. ‘그렇지 않다’(9.7%) ‘매우 그렇다’(0.9%), ‘매우 그렇지 않다’(0.8%)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김 팀장은 "미래유망산업 관련 조사를 해외에서 한다 해도 결과는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며 "해당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업은 기술개발에 적극 나서고 정부는 인력양성, 연구개발(R&D), 세액공제 등 전방위 지원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yes@ekn.kr

여헌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