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근 교수팀 연구, 저비용, 고성능 멤리스터 및 시냅스 소자 구현 기대
![]() |
▲ (왼쪽) Al/Ti3C2Tx-TiO2 NFs/Pt 기반 멤리스터 소자 구조 및 (오른쪽) 100회 이상의 연속 스위칭 주기를 갖는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 (자료=고려대) |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수요 증가와 함께 빅데이터 정보처리를 위한 낮은 소비 전력의 인공 시냅스 소자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저차원 나노물질 및 소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 기반의 시냅스 소자는 크기가 줄어들면 충분한 양의 전자를 유지하기 어려워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 |
▲ (왼쪽)생물학적 시냅스 접합 개략도 및 (오른쪽)생물학적 시냅스 특성의 비휘발성 기억 기능을 모방한 시냅스 소자의 특성 (자료=고려대) |
이와 같은 시냅스 소자는 생물학적 시냅스의 비휘발성 메모리 기능을 모방할 수 있고, 따라서 뇌의 동작 원리와 비슷하게 동작하는 인공지능 컴퓨팅 시스템에서 전기, 화학적 신호를 전송하는데도 유용하다.
밀도범함수이론(DFT) 계산에 의하면, 3차원의 TiO2 나노플라워 물질은 유전 상수 (6.18), 굴절률(2.49), 흡수 계수 (6.36×103cm-1), 그리고 2.11 eV의 밴드 갭을 가지며, 이 물질이 갖는 높은 비표면적, 상호 연결된 다공성 구조, 그리고 구조적인 안정성은 산업용 고성능 저항 메모리 응용에 적합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온교환과 하소 공정에 의해 불산(HF)으로 식각된 Ti3C2Tx 맥신을 동시에 산화, 알칼리화 하는 방식으로 저비용, 고성능의 멤리스터 및 시냅스 소자를 구현이 가능함을 보였다.
![]() |
▲ (왼쪽부터) 교신저자 김태근 교수, 제1저자 Atul C. Khot 박사과정 (사진=고려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