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76% "일본과 교역 확대 원해"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3.29 15:35

중기중앙회, 한·일 경제협력 인식조사 발표

수출 활성화 기대 74%…"정부 판로지원 필요"

국내 중소기업 대(對)일본 경제교류 활성화 기대 분야
(단위 : 개, %, 복수 응답)
구 분 업체수 수출  확대 통관  물류 원활화 소부장  수입 원활화 인적기술  교류 확대 투자  유치 환경 개선
전 체 233 84.1 12.9 11.2 14.6 2.1
소재지 수도권 184 82.1 13 12.5 18 2.2
비수도권 49 91.8 12.2 6.1 2 2
매출액
(원)
50억 미만 79 86.1 15.2 6.3 17.7 0
50억 이상∼100억 미만 51 82.4 2 19.6 9.8 2
100억 이상 103 83.5 16.5 10.7 14.5 3.9
*일본과 경제 교류 확대 의향이 있는 기업 233개사
자료=중소기업중앙회


[에너지경제신문 김유승 기자] 국내 중소기업 10곳 중 약 8곳(76.6%)이 최근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앞으로 일본과 경제교류를 확대하고 싶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29일 발표한 ‘중소기업 한·일 경제협력 인식조사 결과’(3월 23∼24일, 304개사 대상, 복수응답)에 따르면, 향후 일본과 경제교류 확대 의향을 밝힌 응답기업 비율이 76.6%를 기록했다.

이는 이번 조사에 응한 중소기업 가운데 일본과 교류가 있는 분야로 수출이 74.3%로 나타난 것과도 일맥상통했다.

또한 현재 중소기업의 대일 수출 제품으로는 △소재·부품 34.5% △기계장비 29.2% △문구·생활용품 16.4% 순으로 나타났다. 수입 분야도 △소재·부품 56.9% △기계장비 21.6% △문구·생활용품 9.8로 비중만 다를뿐 품목은 같았다.

지난 2019년 일본정부의 일방적인 반도체 관련 수출규제 조치 이후 애로사항이 있었다는 기업은 전체의 45.6%에 이르렀다.

주요 애로사항은 수출감소(21.4%), 통관지연 등 물류차질(9.8%), 소재·부품·장비 수급 차질(7.0%), 기술·인적교류 축소(6.8%) 등의 순서였다.

이번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일본과 경제교류 활성화가 기대되는 분야(복수응답)로는 수출 확대(84.1%)가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인적·기술교류 확대 14.6% △통관 등 물류 원활화 12.9% △소재·부품·장비 수입 원활화 11.2% 등이 따랐다.

반면에 교류 확대를 주저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일본 시장 매력도 저하 39.4% △원자재 등 국산화 완료 19.7% △통관절차 등 복잡 7.0% △업무 디지털화 미비 4.2% △한국 브랜드 평판 악화 2.8% 순으로 꼽혔다.

응답 중소기업들은 한·일 경제교류 확대 시 협력 또는 정부 지원이 필요한 분야(복수응답)로 ‘일본시장 판로개척 지원’(65.5%)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그밖에 △업종별 교류 확대 34.5% △원천기술 협력 8.9% △디지털 콘텐츠 분야 협력 8.9%로 거론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한국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중소기업들은 일본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원천기술을 필요로 하고, 한국에도 ICT 등 첨단기술을 가진 중소기업들이 많은 만큼 한·일 양국 기업간에 활발한 기술·인적교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유승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